[관훈 인터뷰 : 영원한 현역’ 김영희 대기자] “언론사 퇴직이 언론계 은퇴는 아니다” |
관훈저널 |
2018 |
17 |
8 |
9 |
0 |
0 |
0 |
0 |
해직 이후 박권상의 언론활동과 언론사상 |
한국언론학보 |
2017 |
45 |
12 |
25 |
8 |
0 |
0 |
0 |
디지털 저널 발행을 시작하면서 |
언론정보연구 |
2017 |
20 |
1 |
4 |
15 |
0 |
0 |
0 |
54-3호를 발행하면서 |
언론정보연구 |
2017 |
12 |
2 |
5 |
5 |
0 |
0 |
0 |
언론사 연구대상과 범위를 크게 확대하다 |
한국언론학보 |
2016 |
93 |
19 |
18 |
38 |
18 |
0 |
0 |
1960년대 언론인 박권상의 언론학 연구에 대한 고찰 |
한국언론학보 |
2016 |
62 |
8 |
6 |
27 |
21 |
0 |
0 |
종이학술지 발행을 마감하면서 |
언론정보연구 |
2016 |
40 |
6 |
6 |
15 |
13 |
0 |
0 |
한국전쟁 초기 전쟁 소식 전파와 대응의 커뮤니케이션 |
한국언론학보 |
2014 |
274 |
35 |
45 |
48 |
52 |
56 |
38 |
1960년대 VUNC(유엔군총사령부방송) 프로그램과 청취 양상 |
언론정보연구 |
2014 |
95 |
21 |
15 |
15 |
10 |
17 |
17 |
『독립신문』의 지식 개념과 그 의미 |
한국언론학보 |
2013 |
525 |
60 |
87 |
81 |
82 |
82 |
133 |
일제강점기 언론사연구와 안재홍의 “朝鮮新聞小史” |
한국언론정보학보 |
2013 |
366 |
79 |
56 |
33 |
66 |
66 |
66 |
『한국일보』의 초기 성장과 성장요인 |
한국언론학보 |
2013 |
302 |
46 |
28 |
21 |
46 |
60 |
101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50년, 그 역할과 역사적 의미 |
언론정보연구 |
2013 |
172 |
10 |
12 |
14 |
33 |
41 |
62 |
한국전쟁기 이승만정부의 언론정책과 언론의 대응 |
한국언론학보 |
2012 |
1,263 |
82 |
185 |
157 |
210 |
192 |
437 |
장준하의 언론사상 연구 |
한국언론정보학보 |
2012 |
415 |
32 |
22 |
41 |
53 |
56 |
211 |
우리나라 초기 언론학 교육의 출현과 그 성격 |
한국언론학보 |
2012 |
261 |
27 |
36 |
14 |
34 |
45 |
105 |
1960년대 VUNC(유엔군총사령부방송)의 운영과 폐쇄 |
한국언론학보 |
2012 |
160 |
24 |
9 |
19 |
21 |
24 |
63 |
한국전쟁기 이승만 정부의 언론정책과 언론의 대응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2 |
120 |
32 |
19 |
15 |
17 |
5 |
32 |
독립신문 논설의 언론 관련 개념 분석 |
한국언론학보 |
2011 |
361 |
26 |
31 |
37 |
54 |
38 |
175 |
대한매일신보 국문 논설의 언론 관련 개념 분석 |
한국언론학보 |
2011 |
360 |
27 |
29 |
32 |
52 |
41 |
179 |
대한매일신보 국문논설 번역문체 판별의 어휘적 준거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언론정보연구 |
2011 |
152 |
5 |
7 |
8 |
22 |
25 |
85 |
독립신문 논설의 언론 관련 개념 분석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1 |
74 |
14 |
9 |
13 |
12 |
10 |
16 |
우리나라 초기 언론학 교육에 대하여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1 |
8 |
1 |
0 |
3 |
0 |
0 |
4 |
제1공화국 초기 이승만정부 공보선전활동의 성격 |
한국언론학보 |
2010 |
728 |
52 |
55 |
43 |
63 |
90 |
425 |
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 점령지역 선전선동사업 |
한국언론학보 |
2010 |
609 |
46 |
39 |
60 |
74 |
62 |
328 |
한국전쟁기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
한국언론학보 |
2010 |
353 |
27 |
15 |
29 |
31 |
30 |
221 |
형태주석 전산 말뭉치를 활용한 『독립신문』논설의 저자 연구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0 |
57 |
6 |
4 |
4 |
16 |
9 |
18 |
<대한매일신보> 국문논설 형태주석 전산코퍼스의 구축과 활용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0 |
43 |
3 |
2 |
9 |
9 |
7 |
13 |
한국전쟁기 매스 커뮤니케이션 연구동향과 과제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10 |
43 |
4 |
7 |
5 |
5 |
3 |
19 |
한국전쟁 기간 미국의 대한(對韓) 방송활동 |
한국언론학보 |
2009 |
518 |
41 |
33 |
25 |
37 |
47 |
335 |
우범(牛凡) 이해창(李海暢)의 언론학과 언론사 연구에 관한 고찰 |
한국언론학보 |
2009 |
164 |
5 |
2 |
4 |
22 |
14 |
117 |
한국전쟁기 이승만정부의 공보활동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9 |
93 |
19 |
17 |
6 |
5 |
6 |
40 |
牛凡 李海暢의 언론학과 언론사 연구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9 |
35 |
0 |
0 |
1 |
3 |
13 |
18 |
한국전쟁 기간 삐라의 설득커뮤니케이션 |
한국언론학보 |
2008 |
1,018 |
45 |
101 |
77 |
83 |
87 |
625 |
한국전쟁 기간 북한의 대남한 언론활동 |
한국언론정보학보 |
2007 |
567 |
15 |
45 |
51 |
60 |
47 |
349 |
한국정쟁 직전 통일문제에 관한 신문의 인식과 논조 |
한국언론학보 |
2007 |
298 |
7 |
23 |
14 |
18 |
25 |
211 |
한국의 언론사교육 현황과 과제 |
언론정보연구 |
2007 |
171 |
10 |
11 |
11 |
12 |
22 |
105 |
한국전쟁 직전 통일문제에 관한 신문의 논조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6 |
91 |
5 |
8 |
5 |
6 |
3 |
64 |
한국의 커뮤니케이션사 연구동향과 과제 |
커뮤니케이션 이론 |
2005 |
373 |
16 |
21 |
21 |
30 |
34 |
251 |
미군정기 농촌주민의 미디어 접촉 양상 |
한국언론학보 |
2005 |
249 |
12 |
15 |
11 |
26 |
19 |
166 |
한국 언론학에서의 역사연구 : 현황과 과제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5 |
177 |
7 |
25 |
13 |
13 |
19 |
100 |
미군정기 미디어 접촉의 성격과 영향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5 |
156 |
15 |
16 |
23 |
12 |
26 |
64 |
『대한매일신보』독자의 신문인식과 신문접촉 양상 |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
2004 |
222 |
20 |
14 |
8 |
25 |
20 |
135 |
미군정기 수용자의 미디어 접촉 양상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4 |
55 |
6 |
9 |
3 |
6 |
4 |
27 |
종합토론 |
관훈저널 |
2004 |
8 |
2 |
1 |
0 |
4 |
1 |
0 |
한국의 라디오시기의 라디오 수용현상 |
한국언론학보 |
2003 |
740 |
54 |
73 |
79 |
74 |
58 |
402 |
제1공화국시기 수용자의 매체 접촉경향 |
한국언론학보 |
2003 |
189 |
10 |
23 |
8 |
20 |
18 |
110 |
헌법으로 언론의 자유보장 |
관훈저널 |
2003 |
62 |
12 |
3 |
7 |
9 |
17 |
14 |
盧대통령과 조·중·동은 화해하는가 |
관훈저널 |
2003 |
7 |
0 |
0 |
2 |
0 |
3 |
2 |
일제시기 라디오의 출현과 청취자 |
한국언론학보 |
2002 |
686 |
36 |
65 |
56 |
71 |
50 |
408 |
세계속의 한국, 한국속의 세계 |
관훈저널 |
2002 |
18 |
5 |
1 |
2 |
8 |
2 |
0 |
일제 지배시기 한국인의 신문접촉 경향 |
한국언론학보 |
2001 |
637 |
47 |
64 |
52 |
72 |
46 |
356 |
개화기 신문의 여성문제 인식의 경향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1 |
161 |
15 |
10 |
15 |
3 |
14 |
104 |
한국언론의 국제보도 이대로 좋은가? |
관훈저널 |
2001 |
101 |
18 |
12 |
24 |
18 |
9 |
20 |
미군정기 신문의 보도 경향 |
한국언론학보 |
2000 |
411 |
34 |
51 |
56 |
32 |
60 |
178 |
커뮤니케이션 매체중심의 역사적 접근방법 |
한국언론학보 |
2000 |
350 |
18 |
18 |
28 |
33 |
29 |
224 |
미 군정기 신문의 사회적 역할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0 |
121 |
5 |
14 |
12 |
15 |
17 |
58 |
커뮤니케이션 매체중심의 역사적 접근방법 |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000 |
104 |
8 |
6 |
10 |
2 |
11 |
67 |
토론 |
관훈저널 |
2000 |
4 |
0 |
2 |
0 |
1 |
1 |
0 |
[주제 발표 Ⅰ] 남북정상회담과 주변 4강의 역할 |
관훈저널 |
2000 |
3 |
0 |
3 |
0 |
0 |
0 |
0 |
대한제국시기 개신유학자들의 언론사상과 양계초 |
한국언론학보 |
1999 |
238 |
9 |
13 |
19 |
30 |
41 |
126 |
“남편으로서는 빵점입니다” |
관훈저널 |
1998 |
7 |
0 |
1 |
1 |
0 |
2 |
3 |
《독립신문》발행주체의 언론사상 |
언론과 사회 |
1996 |
150 |
16 |
8 |
5 |
17 |
18 |
86 |
Mass Communication Research |
언론정보연구 |
1976 |
14 |
2 |
1 |
0 |
0 |
3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