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과 AR 기술 콘텐츠 사례에 나타난 몰입감과 현실감의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9 |
219 |
219 |
0 |
0 |
0 |
0 |
0 |
VR 시선추적 실험의 분석에 나타난 초기 공간지각 시점 추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9 |
84 |
84 |
0 |
0 |
0 |
0 |
0 |
대학생 개인정보보호 인식조사를 통한 교육 개선방안 연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2019 |
52 |
52 |
0 |
0 |
0 |
0 |
0 |
마감재 차이의 시각자극에서 설문평가 분석을 통한 공간 감성 특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9 |
49 |
49 |
0 |
0 |
0 |
0 |
0 |
유아교육공간에서의 창의적 발현공간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9 |
28 |
28 |
0 |
0 |
0 |
0 |
0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시선추적 실험 환경에서 길 찾기 정보 인지 난이도에 따른 시선 응시의 차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9 |
17 |
17 |
0 |
0 |
0 |
0 |
0 |
공간이미지 차이에 따른 시지각과 뇌파 활성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9 |
16 |
16 |
0 |
0 |
0 |
0 |
0 |
게임엔진의 가상공간 기술에 따른 공간설계 시각화 프로세스 - 사용자 참여를 위한 블루프린트 설정 및 기술 구현 중심으로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9 |
13 |
13 |
0 |
0 |
0 |
0 |
0 |
건축물 미디어 미술작품의 특성에 따른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9 |
12 |
12 |
0 |
0 |
0 |
0 |
0 |
뇌파와 시선추적의 시계열적 분석을 통한 공간선호도의 활성화 영역 차이 |
한국생활과학회지 |
2019 |
2 |
2 |
0 |
0 |
0 |
0 |
0 |
비디오 마이닝 기법에 의한 소비자의 동선체계 행동분석 |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9 |
1 |
1 |
0 |
0 |
0 |
0 |
0 |
시각자극에 따른 뇌파와 시선집중 활성화의 시간영역 비교 |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9 |
1 |
1 |
0 |
0 |
0 |
0 |
0 |
VMD구성요소에 대한 시지각과 선호정보 연관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9 |
1 |
1 |
0 |
0 |
0 |
0 |
0 |
SW 코딩교육에서의 블렌디드 러닝의 학습효과 분석 |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2018 |
284 |
114 |
170 |
0 |
0 |
0 |
0 |
가상현실(Virtual Reality)개념과 국내 선행연구 동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8 |
261 |
150 |
111 |
0 |
0 |
0 |
0 |
치유 관점에서 발도르프학교 교실 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2018 |
214 |
68 |
146 |
0 |
0 |
0 |
0 |
EEG 실험에 의한 발도르프학교 교실색채 반응 특성에 관한 연구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2018 |
140 |
54 |
86 |
0 |
0 |
0 |
0 |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 가상현실에서 사용자의 적응시간에 따른 주의집중과 주시특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8 |
95 |
76 |
19 |
0 |
0 |
0 |
0 |
스마트시티를 위한 IoT 화재대응시스템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8 |
78 |
78 |
0 |
0 |
0 |
0 |
0 |
IoT 기반의 반려식물을 위한 스마트 수경재배기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8 |
71 |
71 |
0 |
0 |
0 |
0 |
0 |
홈셰어 주거생활에서의 긍정 및 부정요인에 대한 조사 분석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
2018 |
69 |
54 |
15 |
0 |
0 |
0 |
0 |
시선추적을 이용한 카페 공간 마감재 차이의 시각주의력 특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8 |
65 |
35 |
30 |
0 |
0 |
0 |
0 |
카페 실내 공간 이미지의 마감재 차이에 따른 공간색채의 주시특성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018 |
65 |
43 |
22 |
0 |
0 |
0 |
0 |
문화 도시 재생 지역의 건축 입면 색채계열 특성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8 |
58 |
50 |
8 |
0 |
0 |
0 |
0 |
동공지표를 이용한 광고이미지의 주의집중 특성과 주시시간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8 |
57 |
33 |
24 |
0 |
0 |
0 |
0 |
백화점 쇼윈도우 디스플레이 디자인 측면 구분에 따른 시선특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8 |
55 |
48 |
7 |
0 |
0 |
0 |
0 |
실내 공간이미지의 공간색채를 통한 시선특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8 |
53 |
30 |
23 |
0 |
0 |
0 |
0 |
고령자의 세대간 홈셰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8 |
36 |
23 |
13 |
0 |
0 |
0 |
0 |
홈셰어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세대간의 사용공간 동선과 공유 활동 특성 분석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8 |
36 |
15 |
21 |
0 |
0 |
0 |
0 |
실내공간의 색상필터 선호 선택 과정에서 나타난 시지각 반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8 |
35 |
35 |
0 |
0 |
0 |
0 |
0 |
이용자의 공간 인지와 환경색채 컨텍스트의 중요성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8 |
30 |
11 |
19 |
0 |
0 |
0 |
0 |
공간이미지의 색상 톤의 변화에 따른 선호 반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8 |
27 |
13 |
14 |
0 |
0 |
0 |
0 |
ISO27014 기반 산업제어시스템 취약점 진단 프로그램 개발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8 |
20 |
20 |
0 |
0 |
0 |
0 |
0 |
Polarimetric research on S- and Q-type Near-Earth Asteroids |
한국천문학회보 |
2018 |
3 |
2 |
1 |
0 |
0 |
0 |
0 |
심박수, 가속도 센서를 활용한 수면 유도 시스템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7 |
213 |
92 |
79 |
42 |
0 |
0 |
0 |
종로 창신2동 골목길의 색채 현황 특성 분석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017 |
128 |
21 |
37 |
70 |
0 |
0 |
0 |
뇌파 선행 실험연구 분석에 의한 색채반응에 관한 연구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017 |
115 |
50 |
59 |
6 |
0 |
0 |
0 |
서촌의 막다른 골목 특성과 한옥 골목 색채 분석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7 |
99 |
41 |
58 |
0 |
0 |
0 |
0 |
카페 공간에서 목재마감재의 활용범위와 색채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
2017 |
93 |
38 |
28 |
27 |
0 |
0 |
0 |
시선추적 실험에 따른 가로공간요소의 관심영역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7 |
82 |
42 |
37 |
3 |
0 |
0 |
0 |
도시재생을 위한 상업 거리 경관에 나타난 주시 특성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7 |
76 |
16 |
25 |
35 |
0 |
0 |
0 |
블루투스 제품광고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영역과 주의집중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7 |
66 |
15 |
34 |
17 |
0 |
0 |
0 |
카페 이미지에서 목재 마감재에 따른 색채배색과 감성 선호도 분석 메커니즘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7 |
65 |
33 |
30 |
2 |
0 |
0 |
0 |
시선추적 실험에 의한 블루투스 헤드셋 광고이미지 시지각 특성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7 |
50 |
19 |
12 |
19 |
0 |
0 |
0 |
친환경 전시의 장애물 없는 (Barrier Free) 환경 구축을 위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7 |
43 |
13 |
15 |
15 |
0 |
0 |
0 |
상가 업종 유형 분포와 보행 경로 생성의 특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7 |
37 |
17 |
10 |
10 |
0 |
0 |
0 |
복지시설 공간 분석 및 목재 환경도입 필요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7 |
34 |
20 |
14 |
0 |
0 |
0 |
0 |
창동역 주변 점포 분포와 보행자의 감성 어휘 평가 조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7 |
14 |
7 |
7 |
0 |
0 |
0 |
0 |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Pedestrians’ Emotional Affectivity in the Chang-dong Subway Station Commercial District |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17 |
12 |
1 |
2 |
9 |
0 |
0 |
0 |
A Comparison of Pull and Push Dataflow Models for Small AnalyticalWorkload Scales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17 |
5 |
3 |
2 |
0 |
0 |
0 |
0 |
A Comparative Analysis of EEG (Electroencephalogram) Activation According to Media Facade Types |
AIC 2017 Jeju |
2017 |
3 |
3 |
0 |
0 |
0 |
0 |
0 |
An Analysis of Alley Color in Tongin-dong, Chebu-dong and Nuha-dong in Seochon, Seoul |
AIC 2017 Jeju |
2017 |
2 |
2 |
0 |
0 |
0 |
0 |
0 |
카페공간에서 좌석 선호에 대한 뇌파의 주의집중도 활성화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6 |
184 |
65 |
42 |
77 |
0 |
0 |
0 |
주거공간에서 가족소통의 개념 및 활용 현황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6 |
171 |
53 |
57 |
61 |
0 |
0 |
0 |
카페공간에서 방문의도성과 대상체의 유무에 따른 관심영역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6 |
136 |
28 |
40 |
63 |
5 |
0 |
0 |
브랜드 카페 사례의 디자인 변화 요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6 |
126 |
24 |
42 |
41 |
19 |
0 |
0 |
카페공간에 대한 수렴적 탐색상황에서의 주의집중 특성의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6 |
126 |
38 |
36 |
29 |
23 |
0 |
0 |
뇌파 반응을 통한 브랜드 카페 공간의 공간 요소에 의한 주의 집중도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6 |
125 |
34 |
47 |
38 |
6 |
0 |
0 |
창신동 골목의 건축 입면 색채 특성 연구 |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
2016 |
95 |
17 |
26 |
34 |
18 |
0 |
0 |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공간 색채 변화 분석 |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
2016 |
93 |
10 |
26 |
37 |
20 |
0 |
0 |
수직농장과 공동주택의 결합을 통한 구룡마을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2016 |
82 |
32 |
31 |
19 |
0 |
0 |
0 |
백화점 멤버십 전용 공간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
2016 |
80 |
21 |
17 |
38 |
4 |
0 |
0 |
세대교류형 공거주거를 위한 내러티브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6 |
77 |
15 |
28 |
27 |
7 |
0 |
0 |
국내 시선추적 선행연구 경향조사를 통한 키워드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6 |
73 |
18 |
20 |
30 |
5 |
0 |
0 |
시선추적을 활용한 색채연구 현황 분석 |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
2016 |
68 |
21 |
16 |
26 |
5 |
0 |
0 |
공간 시선추적의 방문 의도성에 따른 관심영역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6 |
56 |
13 |
13 |
19 |
11 |
0 |
0 |
스웨덴 브랜드 ‘에스프레소 하우스’ 카페 공간 색채 특성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6 |
53 |
12 |
16 |
25 |
0 |
0 |
0 |
X_Gaze Y_Gaze |
International Invitation Exhibition of Color Works |
2016 |
5 |
4 |
0 |
1 |
0 |
0 |
0 |
Greeny Color from Nature |
International Invitation Exhibition of Color Works |
2016 |
2 |
1 |
0 |
1 |
0 |
0 |
0 |
초등학교 실내 공용 공간에서 창의성 요인 평가 방법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5 |
300 |
61 |
68 |
58 |
65 |
48 |
0 |
아웃도어 브랜드 매장의 피팅룸 디자인 특성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5 |
95 |
6 |
8 |
15 |
45 |
21 |
0 |
국내 전문직 여성의 물리적 · 정신적 공간 탐색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5 |
91 |
10 |
19 |
17 |
20 |
25 |
0 |
Color schema of Changshin-Dong alley |
International Invitation Exhibition of Color Works |
2015 |
2 |
1 |
0 |
0 |
0 |
1 |
0 |
감성색채와 신경과학 |
건축 |
2014 |
386 |
60 |
38 |
58 |
84 |
117 |
29 |
체험요소에 의한 대형서점의 문화 공간 조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4 |
282 |
76 |
57 |
52 |
59 |
38 |
0 |
미디어 파사드 영상 자극에 대한 뇌파 반응 특성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
2014 |
250 |
37 |
45 |
45 |
47 |
56 |
20 |
교토 지역의 건축입면 색채 계열 특성 분석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014 |
241 |
23 |
48 |
42 |
45 |
80 |
3 |
미디어 파사드의 건축적 이해 |
조명·전기설비 |
2014 |
197 |
43 |
27 |
30 |
36 |
58 |
3 |
노출 콘크리트의 마감재 적용 현황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4 |
188 |
39 |
24 |
26 |
47 |
39 |
13 |
교회건축의 외장색채 사용 현황에 관한 연구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014 |
156 |
15 |
24 |
33 |
30 |
42 |
12 |
미디어 파사드 영상과 대표배색에 따른 감성어휘 비교 연구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014 |
150 |
20 |
36 |
30 |
21 |
37 |
6 |
초등학교 실내 공용 공간에서 창의성 요인 추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4 |
114 |
20 |
20 |
37 |
20 |
17 |
0 |
청소년 감성어휘의 학령별 뇌파분석에 따른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계획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4 |
95 |
8 |
23 |
13 |
12 |
31 |
8 |
여성의 물리적ㆍ정신적 공간 탐색에 관한 예비연구 (1)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4 |
76 |
6 |
12 |
17 |
8 |
14 |
19 |
오색학설(五⾊學說)에 의한 중국 전통 경극(京劇)에서의 검보(臉譜) 색채 조사 |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
2014 |
70 |
12 |
3 |
14 |
6 |
16 |
19 |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 의한 임부복 매장 피팅룸 사례 특성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4 |
60 |
14 |
10 |
10 |
8 |
18 |
0 |
아웃도어 브랜드 피팅룸의 특성 조사 |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
2014 |
32 |
4 |
3 |
3 |
0 |
10 |
12 |
국내 전문직 여성의 물리적 · 정신적 공간 탐색을 위한 예비연구 |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
2014 |
18 |
2 |
3 |
7 |
3 |
1 |
2 |
백화점 미디어 파사드의 공간마케팅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3 |
846 |
40 |
57 |
55 |
115 |
151 |
428 |
NCS(Natural Color System) 톤(Tone)에 의한 도시경관 색채배색 비교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3 |
580 |
31 |
45 |
43 |
96 |
104 |
261 |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공간별 감성색채배색 이미지에 따른 청소년의 뇌파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3 |
495 |
52 |
56 |
47 |
108 |
136 |
96 |
SPA브랜드 매장의 감성디자인 요소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3 |
412 |
18 |
27 |
13 |
78 |
101 |
175 |
건축과 미디어 기술이 통합된 미디어 파사드 사례의 색채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013 |
356 |
35 |
61 |
69 |
85 |
77 |
29 |
미디어 파사드 사례의 색채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3 |
287 |
8 |
23 |
35 |
65 |
55 |
101 |
감성 어휘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사례의 선호도 조사 분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3 |
251 |
23 |
10 |
33 |
46 |
62 |
77 |
미디어 파사드의 감성선호도와 색채 비교 분석 |
디자인융복합연구 |
2013 |
70 |
0 |
0 |
0 |
0 |
0 |
70 |
미디어 파사드의 영상과 대표배색의 비교에 따른 감성어휘 |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
2013 |
54 |
7 |
9 |
9 |
12 |
12 |
5 |
경험적 교육 이론에 의한 실내건축 디자인 교육 사례 |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
2013 |
36 |
4 |
6 |
6 |
8 |
2 |
10 |
긴자 거리에 위치한 미디어 파사드 사례의 색채 |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
2013 |
33 |
6 |
2 |
7 |
4 |
13 |
1 |
Digital Color Distributions of Media Facades Located at Chuo-gu Street in Ginza |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conference |
2013 |
10 |
2 |
0 |
2 |
0 |
3 |
3 |
구도심 역사성 보존을 위한 디자인 기초 요소에 대한 연구 |
디자인지식저널 |
2012 |
518 |
35 |
53 |
53 |
76 |
81 |
220 |
도시 지역의 경관 색채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 키워드의 관계성 연구 |
디자인지식저널 |
2012 |
234 |
8 |
14 |
15 |
38 |
40 |
119 |
미디어 파사드의 유형화에 따른 색도좌표 분석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2 |
234 |
11 |
15 |
21 |
37 |
32 |
118 |
문화적 평가지표를 활용한 공공디자인 개념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2 |
207 |
14 |
6 |
23 |
19 |
40 |
105 |
CIE 좌표 분석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의 색채 비교 |
디자인지식저널 |
2012 |
182 |
5 |
1 |
10 |
33 |
23 |
110 |
싱가포르의 감성 미디어 파사드 사례 분석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2 |
149 |
4 |
11 |
21 |
27 |
25 |
61 |
디지털 미디어 스킨의 색도분포 분석에 관한 연구 |
디자인융복합연구 |
2012 |
69 |
0 |
0 |
0 |
0 |
0 |
69 |
Application and Model of Integrated Design Process for Space Design |
한국콘텐츠학회 ICCC 논문집 |
2012 |
5 |
1 |
1 |
1 |
2 |
0 |
0 |
Application and Model of Integrated Design Process for Space Design |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2012 |
4 |
1 |
0 |
1 |
1 |
0 |
1 |
고령친화 환경조성을 위한 노인 커뮤니티시설의 배치 및 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1 |
220 |
21 |
27 |
37 |
46 |
65 |
24 |
사이버네틱스 이론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모바일 위젯 개발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1 |
123 |
1 |
18 |
17 |
12 |
13 |
62 |
북유럽의 도시경관 색채배색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0 |
426 |
29 |
35 |
46 |
68 |
82 |
166 |
개인화서비스를 위한 시맨틱웹 기반 푸시서비스 기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2010 |
362 |
4 |
4 |
8 |
29 |
40 |
277 |
학교 공간 개선 사업을 통한 디자인 과정 유형화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0 |
257 |
33 |
43 |
25 |
37 |
31 |
88 |
공간디자인 교육사례를 통한 통합된 교육 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10 |
221 |
14 |
16 |
20 |
29 |
34 |
108 |
공간에서 빛의 유형분류와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0 |
127 |
24 |
16 |
11 |
10 |
33 |
33 |
고령자를 위한 교회건축 편의시설 개선방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10 |
46 |
4 |
9 |
6 |
6 |
9 |
12 |
효과적인 디지털 설계 프로세스를 위한 BIM 적용 사례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09 |
323 |
6 |
17 |
25 |
46 |
48 |
181 |
도시화에 따른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9 |
201 |
49 |
23 |
26 |
36 |
30 |
37 |
스마트 환경을 위한 감성반응 실내 색채 배색 VR 모델에 관한 연구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2009 |
151 |
11 |
22 |
19 |
32 |
16 |
51 |
공간관의 변화에 따른 사건과 장소의 관계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9 |
110 |
7 |
15 |
17 |
25 |
23 |
23 |
안도 타다오 건축에 나타난 사색 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8 |
242 |
40 |
35 |
41 |
67 |
30 |
29 |
도시 마케팅 전략으로서 공공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7 |
171 |
15 |
9 |
14 |
52 |
46 |
35 |
새로운 몸의 구조적 개념에 따른 공간의 관계성 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7 |
28 |
3 |
1 |
3 |
9 |
2 |
10 |
브랜드 체험수단으로서 플래그 쉽 스토어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6 |
347 |
49 |
68 |
48 |
58 |
36 |
88 |
현대 상업건축에서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건축가의 해석과 표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6 |
83 |
7 |
12 |
9 |
20 |
23 |
12 |
2000년 이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트랜드의 언어심상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6 |
39 |
5 |
7 |
1 |
11 |
6 |
9 |
함수 최적화 알고리즘 : C-AGA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5 |
85 |
1 |
0 |
3 |
7 |
14 |
60 |
생태요소를 적용한 감성 공간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5 |
56 |
4 |
8 |
6 |
13 |
13 |
12 |
추천시스템을 위한 내용기반 필터링과 협력필터링의 새로운 결합 기법 |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
2004 |
598 |
57 |
59 |
66 |
100 |
146 |
170 |
디자인 호텔 실내공간의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4 |
140 |
27 |
12 |
9 |
31 |
20 |
41 |
현대 상업건축에서 브랜드 이미지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
2004 |
83 |
1 |
1 |
6 |
7 |
16 |
52 |
브랜드개성강화를 위한 공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획득되는 가치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4 |
82 |
4 |
18 |
6 |
13 |
11 |
30 |
공간에 있어 모서리의 조형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4 |
56 |
2 |
17 |
9 |
5 |
8 |
15 |
色彩理論을 바탕으로 建築空間에 適用된 色彩事例 分析 - 괴테의 색채론을 중심으로 리트벨트와 르 꼬르뷔지에 작품의 색채조형 분석 -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
2003 |
148 |
10 |
10 |
18 |
14 |
16 |
80 |
뮤지엄 전시디자인 평가방식 및 현황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3 |
79 |
12 |
13 |
12 |
13 |
9 |
20 |
가상현실을 이용한 디지털주택의 상호작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
2003 |
66 |
1 |
6 |
4 |
13 |
4 |
38 |
멀티인덱스키를 이용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3 |
51 |
0 |
2 |
3 |
5 |
0 |
41 |
웹 기반 감성평가 VR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3 |
49 |
5 |
10 |
9 |
12 |
8 |
5 |
박물관 전시디자인 평가방식과 도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useum Exhibit Design Evaluation Methods & Tools )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
2002 |
148 |
11 |
9 |
11 |
29 |
7 |
81 |
SF 영화 세트 디자인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2 |
112 |
13 |
18 |
13 |
23 |
22 |
23 |
디지털 게임의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2 |
65 |
6 |
6 |
5 |
20 |
17 |
11 |
감성반응 가상현실 모델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2 |
53 |
6 |
8 |
11 |
9 |
2 |
17 |
주택 내에서의 이동을 위한 안전 디자인지침 연구 ( The Study of Safety Design Guide-Line for Children in Housing )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
2002 |
43 |
1 |
0 |
3 |
11 |
4 |
24 |
웹문서의 자동 생성기능을 기반으로한 디자인 정보관리 시스템 - 공동주택 및 인테리어 디자인 프로젝트 수행을 중심으로 ( A Mechanically Activated Web-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Housing Design Projects )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
2002 |
42 |
2 |
5 |
5 |
7 |
3 |
20 |
분산 이기종 인터넷 쇼핑몰 환경에서의 벡터 모델 기반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2002 |
35 |
1 |
4 |
3 |
7 |
2 |
18 |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고려한 협력 필터링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2 |
34 |
2 |
0 |
5 |
9 |
5 |
13 |
공간의 키네티시즘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2 |
31 |
0 |
4 |
3 |
10 |
5 |
9 |
가변형 가상현실 모델을 위한 감성 반응 색채 배색에 관한 연구 |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
2002 |
25 |
6 |
5 |
7 |
3 |
3 |
1 |
바우하우스 무대 미술의 공간 조형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1 |
156 |
14 |
19 |
21 |
29 |
28 |
45 |
20세기 초 러시아 구성주의에서 나타나는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1 |
147 |
45 |
23 |
23 |
22 |
20 |
14 |
자연이미지 그래프에 의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형태생성과 변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eneration of forms and transformation in cyberspace using natural graph )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
2001 |
50 |
0 |
1 |
4 |
12 |
3 |
30 |
특집 - 한국 실내디자인의 경향 (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Trend of Korea ) |
건축 |
2001 |
47 |
0 |
1 |
2 |
9 |
9 |
26 |
인터넷 정보가전을 활용한 주거공간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1 |
37 |
2 |
3 |
2 |
9 |
4 |
17 |
ebXML 비즈니스 프로세스 에디터 설계 및 구현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1 |
11 |
0 |
0 |
3 |
2 |
0 |
6 |
미니멀리즘 건축에 나타난 환경친화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0 |
95 |
5 |
22 |
11 |
18 |
23 |
16 |
용어 분포 유사도를 이용한 질의 용어 확장 및 가중치 재산정 |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
2000 |
61 |
1 |
1 |
0 |
6 |
10 |
43 |
시대에 따른 기둥의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00 |
58 |
22 |
6 |
6 |
15 |
8 |
1 |
인터넷 쇼핑몰 허브싸이트를 위한 개인화된 맞춤서비스 제공 시스템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0 |
54 |
2 |
6 |
9 |
3 |
5 |
29 |
용어 발생 유사도와 퍼지 추론을 이용한 질의 용어 확장 및 가중치 재산정 |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
2000 |
40 |
1 |
1 |
1 |
5 |
9 |
23 |
퍼지 추론을 이용한 질의 용어 확장 및 가중치 재산정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0 |
27 |
0 |
0 |
1 |
2 |
5 |
19 |
음란 사이트 탐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0 |
21 |
1 |
0 |
2 |
9 |
1 |
8 |
비교 쇼핑 에이전트를 위한 Wrapper의 자동생성 설계 및 구현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2000 |
17 |
0 |
1 |
0 |
3 |
1 |
12 |
20세기 건축의 유기적 표현원리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99 |
61 |
8 |
6 |
6 |
4 |
17 |
20 |
실내공간에 있어 자연광에 의한 시지각적 현상(現象)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97 |
80 |
14 |
7 |
5 |
18 |
17 |
19 |
연관 문헌내 용어 발생 분포를 이용한 질의 용어 확장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1997 |
27 |
0 |
0 |
1 |
4 |
4 |
18 |
색채 분포 정보를 이용한 내용기반 화상검색 시스템의 설계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1997 |
26 |
0 |
0 |
0 |
6 |
3 |
17 |
Web 상에서의 정보검색을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의 설계 및 구현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1997 |
20 |
2 |
0 |
0 |
5 |
1 |
12 |
퍼지 방향코드를 이용한 온라인 한글인식 |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1996 |
36 |
1 |
2 |
0 |
12 |
7 |
14 |
손 박물관(죤 손경주택) 실내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96 |
29 |
2 |
5 |
3 |
3 |
14 |
2 |
과정접근적 순수미술 전시가 관람자의 관심도와 감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94 |
34 |
3 |
11 |
5 |
6 |
6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