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mical Property of the Fly Ash Collected at an Incinerator and its Effects on Near Ambient Particles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2019 |
2 |
2 |
0 |
0 |
0 |
0 |
0 |
Particle Scavenging Properties of Rain Clarified by a Complementary Study with Bulk and Semi-bulk Samples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2018 |
23 |
6 |
17 |
0 |
0 |
0 |
0 |
Chemical Properties of PM2.5 Collected at Two Western Cities of Korea and Japan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8 |
2 |
1 |
1 |
0 |
0 |
0 |
0 |
Chemical Properties of Indoor Individual Particles Collected at the Daily Behavior Spaces of a Factory Worker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2017 |
5 |
5 |
0 |
0 |
0 |
0 |
0 |
Chemically Aged Asian Dust Particles Proven by Traditional Spot Test and the Most Advanced micro-PIXE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2016 |
5 |
5 |
0 |
0 |
0 |
0 |
0 |
국내 쯔쯔가무시증 발생과 기후요인의 상호 관련성 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5 |
97 |
20 |
26 |
33 |
17 |
1 |
0 |
High Time-resolution Characterization of PM2.5 Sulfate Measured in a Japanese Urban Site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2015 |
10 |
10 |
0 |
0 |
0 |
0 |
0 |
Properties of Indoor Particles Collected in Japanese Homes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2015 |
5 |
5 |
0 |
0 |
0 |
0 |
0 |
Chemical Properties of the Individual Asian Dust Particles Clarified by Micro-PIXE Analytical System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2014 |
1 |
1 |
0 |
0 |
0 |
0 |
0 |
익산의 왕궁ㆍ춘포지역 악취현황조사 및 모델링을 통한 영향권 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3 |
48 |
3 |
12 |
8 |
13 |
5 |
7 |
익산의 왕궁ㆍ춘포지역 환경대기 중 암모니아 농도의 공간분포에 관한 연구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3 |
29 |
4 |
6 |
0 |
7 |
5 |
7 |
익산지역 대기에어로졸의 침적물과 PM에서 수용성 이온성분의 화학조성 비교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3 |
22 |
1 |
2 |
0 |
4 |
2 |
13 |
The effects of the Saemangeum project on the air quality in the Byunsan Peninsula of Korea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3 |
4 |
1 |
0 |
0 |
0 |
0 |
3 |
서울지역의 미세분진(PM2.5)의 구성성분에 관한 연구(Ⅰ)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2 |
66 |
12 |
6 |
3 |
10 |
8 |
27 |
관능법에 의한 악취모니터링과 연계한 고감도 악취 실측 연구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2 |
47 |
10 |
10 |
6 |
6 |
5 |
10 |
익산시 악취오염원 실태파악을 위한 관능법에 의한 악취모니터링 연구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2 |
33 |
4 |
5 |
4 |
4 |
7 |
9 |
서울지역 미세분진 중 이온성분의 존재 형태에 관한 연구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2 |
27 |
3 |
0 |
3 |
6 |
0 |
15 |
익산지역 대기에어로졸의 계절별 침적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2 |
27 |
1 |
1 |
0 |
3 |
2 |
20 |
High Loading for Air Pollution in the Byunsan Peninsula of Korea by an Interplay of the Saemangeum Project and Winter Monsoo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2012 |
1 |
1 |
0 |
0 |
0 |
0 |
0 |
겨울철 서울지역의 대기분진 중 이온성분의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1 |
29 |
1 |
1 |
0 |
4 |
4 |
19 |
House Dust in Indoor of Japanese General Homes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0 |
9 |
2 |
0 |
0 |
0 |
1 |
6 |
Development of Quantitative Method for the Elements in Individual Micro Droplet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10 |
4 |
1 |
0 |
0 |
0 |
1 |
2 |
A Case Study of Ionic Components in the Size-resolved Ambient Particles Collected Near the Volcanic Crater of Sakurajima, Japa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2010 |
2 |
2 |
0 |
0 |
0 |
0 |
0 |
직접관능법과 대기 중 암모니아 농도의 공간분포를 이용한 악취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9 |
94 |
2 |
6 |
3 |
13 |
9 |
61 |
황사 에피소드 발생시 호흡기 침착부위에 따른 대기먼지의 농도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9 |
73 |
5 |
4 |
3 |
2 |
9 |
50 |
익산시 행정구역별 에너지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9 |
50 |
0 |
0 |
0 |
4 |
2 |
44 |
익산지역에서 직접관능법에 의한 악취관리 사례 연구 |
환경위생공학 |
2009 |
45 |
5 |
3 |
4 |
8 |
4 |
21 |
제2주제 : 저비용에 의한 악취실태조사 및 관리 방안 연구 |
대한환경위생공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09 |
37 |
2 |
0 |
0 |
5 |
4 |
26 |
Morphological and Chemical Nature of Individually Collected Snow Crystals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9 |
15 |
0 |
0 |
0 |
0 |
0 |
15 |
Theoretical Calculation of Ionic Mass Resolved in Each Size of Raindrop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9 |
11 |
0 |
0 |
0 |
0 |
1 |
10 |
제4주제 : 인체 호흡기에 침착되는 입경별 대기먼지의 농도와 이온 조성 |
대한환경위생공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08 |
79 |
7 |
5 |
5 |
3 |
13 |
46 |
미세입자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결합비율 추정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8 |
49 |
1 |
0 |
1 |
4 |
2 |
41 |
An Orchestrated Study of the Bulkily and Individually Collected Aerosols in Gosan, Jeju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8 |
8 |
0 |
0 |
0 |
0 |
1 |
7 |
수도권 미세먼지 중 광역적발생원에 의한 이차생성입자에 관한 연구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7 |
97 |
11 |
9 |
8 |
15 |
7 |
47 |
2006년 황사기간 중 익산지역에서 PM2.5, PM₁₀, TSP의 농도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7 |
49 |
3 |
5 |
5 |
10 |
3 |
23 |
The Novel Methods for the Collection of Single and Size-resolved Cloud Drops and Their Applications to the Study of Asian Dust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7 |
11 |
0 |
0 |
0 |
0 |
0 |
11 |
한반도 배경지역 (안면, 울진, 고산) 강수의 산성도와 화학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2006 |
108 |
8 |
2 |
10 |
7 |
14 |
67 |
2005년 가을철 익산지역 대기에어로졸의 화학적 조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6 |
55 |
0 |
3 |
3 |
3 |
0 |
46 |
2006년 봄 익산에서 관측된 황사의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6 |
29 |
0 |
0 |
1 |
1 |
1 |
26 |
Characterization of Ionic Components in Volcanic Aerosols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6 |
13 |
0 |
0 |
0 |
0 |
0 |
13 |
익산지역 환경대기중 입자상물질의 농도가 일별 침적량에 미치는 영향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5 |
33 |
0 |
1 |
0 |
1 |
1 |
30 |
환경대기중 입경별 수용성 무기이온성분의 호흡기 침적부위에 따른 일별농도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5 |
25 |
3 |
2 |
0 |
0 |
1 |
19 |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Airborne Pollen in an Urban Area of Japan |
한국대기환경학회지(영문) |
2005 |
19 |
0 |
0 |
0 |
4 |
4 |
11 |
2004년 봄철 익산지역 입경별 미세먼지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일별 농도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4 |
64 |
4 |
0 |
2 |
0 |
3 |
55 |
[SESSION PA 포스터-측정 및 분석]PA23) 환경대기중 PM10 및 PM2.5의 화학조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4 |
57 |
1 |
0 |
1 |
4 |
0 |
51 |
익산지역에서 자동 및 수동채취방식에 따른 강수의 화학적 특성 비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2004 |
57 |
5 |
0 |
2 |
6 |
11 |
33 |
입자상물질의 연속 및 직접측정 비교-Ⅰ. 수용성이온성분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4 |
50 |
2 |
2 |
2 |
1 |
0 |
43 |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ize-resolved Particles in Buk-Ak Tunnel |
한국대기환경학회지(영문) |
2004 |
24 |
0 |
0 |
0 |
0 |
1 |
23 |
An Experimental Estimation of Two Detection Limit Models |
한국대기환경학회지(영문) |
2004 |
12 |
0 |
0 |
0 |
0 |
1 |
11 |
Characteristics of Gas- and Particle-phase Acids and NH₃at Urban and Rural Sites in Korea |
한국대기환경학회지(영문) |
2004 |
12 |
0 |
0 |
0 |
2 |
0 |
10 |
[SESSION 2D 측정 및 분석(Ⅱ)(현황과 방법)]2D1) 익산지역에서 Wet와 Bulk 강수의 화학적 특성 비교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4 |
7 |
0 |
0 |
0 |
0 |
0 |
7 |
3E1)대도시 지역 환경대기에서 미세먼지의 농도 및 이온성분의 화학적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3 |
164 |
23 |
28 |
11 |
6 |
10 |
86 |
3E2)미세먼지 분야 측정분석 자료의 해석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3 |
92 |
11 |
2 |
3 |
4 |
7 |
65 |
2C2)익산지역 환경대기 중 PM_10 및 PM_2.5의 농도 및 화학조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3 |
39 |
1 |
3 |
0 |
2 |
2 |
31 |
PA31)전북지역에서 시료채취방식에 따른 강수의 산성도 및 화학적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3 |
31 |
1 |
0 |
1 |
0 |
3 |
26 |
익산지역에서 겨울철 강수중 저강수시료의 산성도와 이온성분의 화학적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3 |
29 |
0 |
0 |
0 |
1 |
8 |
20 |
3E6)서울·인천 지역 시정장애의 광·화학적 특성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3 |
20 |
1 |
0 |
0 |
1 |
3 |
15 |
SESSION 3E 측정 및 분석(기체측정방법론)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3 |
13 |
0 |
2 |
0 |
0 |
4 |
7 |
SESSION 2E 측정 및 분석(배경지역 특성 분석)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2003 |
8 |
0 |
0 |
0 |
1 |
0 |
7 |
익산지역 강수의 계절별 산성도와 화학성상 ( Seasonal Variations of Acidity and Chemistry of Precipitation in Iksan Area )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1999 |
44 |
2 |
6 |
0 |
13 |
8 |
15 |
서울지역 강수 산성도의 장기적인 경향분석 ( An Analysis of Long-term Trends in Precipitation Acidity of Seoul , Korea )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1997 |
37 |
6 |
3 |
2 |
4 |
3 |
19 |
강수의 계절별 침착 특성 ( Seasonal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1997 |
18 |
0 |
1 |
0 |
0 |
0 |
17 |
서울지역 강수중 이온성분 분석자료의 해석 ( Interpretation of Analytical Data of Ion Components in Precipitation , Seoul )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1996 |
52 |
6 |
5 |
2 |
8 |
6 |
25 |
강수의 화학성상에 관한 장기적 분석결과의 해석 ( Analysis of Long-term Analytical Results of Precipitation Chemistry )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1996 |
16 |
0 |
1 |
0 |
0 |
1 |
14 |
눈의 화학성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now )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1996 |
14 |
0 |
0 |
0 |
1 |
0 |
13 |
해안지역과 도시지역 강수의 화학적 특성 및 분석자료의 신뢰성 검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 Precipitation at Coastal and Metropolitan areas and Quality Assurance of Chemical Analysis Data )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1995 |
48 |
1 |
1 |
0 |
1 |
0 |
45 |
강화지역 강수의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Pollution Level of Precipitation at Kangwha , 1992 )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1995 |
25 |
2 |
0 |
2 |
5 |
5 |
11 |
강수 분석자료의 신뢰성 검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Quality Assurance of Chemical Analysis Data of Precipitation Samples ) |
환경위생공학 |
1995 |
21 |
4 |
1 |
1 |
2 |
2 |
11 |
서해안과 동해안지역 강수의 화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at Kangwha and Yangyang )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1994 |
20 |
1 |
2 |
0 |
0 |
2 |
15 |
해안지역과 도시지역 강수의 화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Chemical Components in Rainwater at Coastal and Metropolitan areas )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1992 |
45 |
3 |
12 |
2 |
1 |
5 |
22 |
환경 대기중 Nitrate의 생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Nitrate in the Atmosphere )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1992 |
45 |
2 |
3 |
11 |
7 |
2 |
20 |
서울시 강하분진중 수용성 성분의 강하량 ( Deposition Amount of Soluble Components of Dustfall in Seoul )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1992 |
41 |
0 |
1 |
0 |
2 |
8 |
30 |
광주시에서의 산성강하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cid Precipitation in Kwangju )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1992 |
37 |
0 |
2 |
0 |
7 |
4 |
24 |
NO2간역포집기 정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ccuracy a Passive NO2 Sampler ) |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
1992 |
33 |
0 |
4 |
4 |
5 |
4 |
16 |
서울시 강차분진 중 수용성 성분의 강하량 ( Deposition Amount of Soluble Components of Dustfall in Seoul )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1992 |
15 |
0 |
0 |
1 |
0 |
0 |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