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부 트라이아스기 아미산층에서 산출된 최초의 Redfieldiiformes의 고생물학적 및 고지리학적 의의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9 |
6 |
6 |
0 |
0 |
0 |
0 |
0 |
연일층군 두호층에서 발견된 고래 화석에 대한 예비 연구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9 |
3 |
3 |
0 |
0 |
0 |
0 |
0 |
몽골에서 새롭게 산출된 Talarurus (Ankylosauria: Ankylosauridae) 표본과 갑옷공룡의 계통발생학 연구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9 |
2 |
2 |
0 |
0 |
0 |
0 |
0 |
경상북도 포항시 두호층(중기 마이오세)에서 산출된 Cosmopolitodus hastalis (판새아강: 악상어과) 이빨 화석 |
지질학회지 |
2018 |
116 |
61 |
55 |
0 |
0 |
0 |
0 |
고생물학에서 EBSD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의 중요성과 연구 사례들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8 |
17 |
11 |
6 |
0 |
0 |
0 |
0 |
몽골 동고비 상부 백악기 Bayanshiree Formation에서 발견된 독특한 공룡 산란지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8 |
16 |
8 |
8 |
0 |
0 |
0 |
0 |
몽골 Nemegt Formation (Campanian - early Maastrichtian)에서 산출된 새로운 어류 화석의 기재 및 기존 화석의 재분류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8 |
16 |
9 |
7 |
0 |
0 |
0 |
0 |
몽골 상부 백악기 Bayanshiree Formation에서 발견된 최초의 악어 보행렬 화석 |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
2018 |
15 |
15 |
0 |
0 |
0 |
0 |
0 |
몽골 동고비의 상부 백악기 Bayanshiree Formation에서 산출된 새로운 Ankylosaurinae 공룡의 형태적 특징과 분기도상 위치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8 |
14 |
8 |
6 |
0 |
0 |
0 |
0 |
상부 백악기 위도층에서 발견된 쥐라기 공룡알 Preprismatoolithus 보고와 고생물학적 함의 |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
2017 |
7 |
4 |
2 |
1 |
0 |
0 |
0 |
방사광가속기 결정학-분광학적 분석기법을 활용한 화석연구 |
한국암석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2015 |
33 |
10 |
2 |
6 |
14 |
1 |
0 |
몽골화석과 한국화석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비교 연구 |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
2015 |
17 |
6 |
1 |
10 |
0 |
0 |
0 |
[Column] 진화의 아이콘, 시조새 |
고생물학회지 |
2014 |
229 |
77 |
52 |
48 |
41 |
11 |
0 |
제주도 서귀포층에서 산출된 백상아리 이빨 |
지질학회지 |
2014 |
169 |
26 |
30 |
44 |
42 |
25 |
2 |
백악기 탄도분지의 퇴적환경과 분지발달 |
지질학회지 |
2013 |
378 |
75 |
51 |
46 |
89 |
63 |
54 |
타르보사우루스의 식사 |
고생물학회지 |
2012 |
52 |
4 |
1 |
1 |
10 |
19 |
17 |
타르보사우루스의 식사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2 |
38 |
8 |
2 |
12 |
2 |
2 |
12 |
몽골 후기백악기 네메겟층에서 발견된 오르니토미무스류 수각류의 골격과 보행렬 |
고생물학회지 |
2012 |
27 |
6 |
2 |
5 |
2 |
4 |
8 |
몽골 후기백악기 네메겟층에서 발견된 오르니토미무스류 수각류의 골격과 보행렬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2 |
13 |
3 |
0 |
2 |
1 |
1 |
6 |
코리아케라톱스(Koreaceratops)에 의해 밝혀진 각룡류 공룡 진화의 새로운 증거들 |
고생물학회지 |
2011 |
133 |
31 |
12 |
13 |
29 |
18 |
30 |
코리아케라톱스(Koreaceratops)에 의해 밝혀진 각룡류 공룡 진화의 새로운 증거들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1 |
66 |
6 |
12 |
18 |
6 |
2 |
22 |
The geologic age of the Bukpyeong Formation based on small mammal fossils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10 |
9 |
4 |
0 |
1 |
0 |
0 |
4 |
The first basal neoceratopsian dinosaur from Korea |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
2010 |
7 |
2 |
0 |
4 |
0 |
0 |
1 |
Kirgizemys ("macrobaenid") turtle from the Geoncheonri Formation of South Korea |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
2009 |
1 |
1 |
0 |
0 |
0 |
0 |
0 |
경기도 화성시 고정리 공룡알화석지에서 산출된 공룡 늑골 |
고생물학회지 |
2008 |
158 |
20 |
7 |
22 |
46 |
17 |
46 |
한국에서 처음 발견된 티라노사우루스류(tryannosauroid) 이빨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08 |
39 |
3 |
5 |
3 |
1 |
15 |
12 |
경기도 화성시 남양분지에서 발견된 새로운 공룡알 화석산지 |
고생물학회지 |
2007 |
281 |
26 |
15 |
22 |
39 |
43 |
136 |
한국에서 처음 발견된 조각류 공룡 이빨 화석 |
고생물학회지 |
2007 |
132 |
13 |
8 |
14 |
19 |
14 |
64 |
경상남도 하동군 대도리 주지섬(하산동층)에서 산출된 새로운 수각류 이빨 |
지질학회지 |
2007 |
97 |
16 |
7 |
12 |
12 |
23 |
27 |
경기도 화성시 남양분지에서 발견된 새로운 공룡알 화석산지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07 |
34 |
2 |
2 |
12 |
4 |
3 |
11 |
경상남도 하동군 전기 백악기 하산동층에서 산출된 새로운 악룡발자국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07 |
14 |
1 |
1 |
0 |
1 |
1 |
10 |
A PRELIMINARY REPORT ON TWO NEW VERTEBRATE TRACK SITES INCLUDING DINOSAURS FROM THE EARLY CRETACEOUS HEKOU GROUP, GANSU PROVINCE, CHINA |
고생물학회지 |
2006 |
81 |
4 |
1 |
9 |
10 |
35 |
22 |
A SAUROPOD TRACKWAY IN DONGHAE-MYEON, GOSEONG COUNTY,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AND ITS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OF UHANGRI MANUS-ONLY SAUROPOD TRACKS |
고생물학회지 |
2006 |
69 |
7 |
6 |
7 |
3 |
11 |
35 |
경남 하동군과 사천시에 분포하는 하산동층에서 발견된 새로운 척추동물화석 |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2006 |
24 |
8 |
1 |
1 |
1 |
8 |
5 |
북한 함경북도 명천의 제3기층 기동층에서 기재된 Bunolophodon yokotii Makiyama, 1938에 대한 새로운 고찰 |
고생물학회지 |
2005 |
22 |
3 |
1 |
4 |
7 |
3 |
4 |
공룡뼈 |
한국고생물학회 단행본 |
2004 |
197 |
19 |
12 |
14 |
60 |
28 |
64 |
공룡알 |
한국고생물학회 단행본 |
2004 |
117 |
9 |
8 |
13 |
25 |
26 |
36 |
경기도 시화호 남측 간척지 공룡알과 둥지화석의 기초연구 |
고생물학회지 |
2000 |
236 |
35 |
20 |
22 |
39 |
19 |
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