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비밀번호 변경 안내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 변경 안내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정주학의 핵심 명제인 “성즉리”와 양명학의 핵심명제인 “심즉리”에 대한 담약수의 비판과 대안을 집중적으로 토론하였다. 논문의 후 반부에서는 그러한 과정을 통해 재구성된 담약수의 사상이 특정 역사적 문맥에서 발생한 지적 문제에 대한 대답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관점 하에, 속학과 양명학으로 대별되는 명 중기 사상적 맥락을 검토하였다. 그렇게 볼 때, 담약수의 사상은, 개인의 도덕으로 세상을 구제하고자 했던 도학의 프로젝트를 지지해온 자아와 세계의 총체성 개념을 회복하고자 했던 하나의 철학적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요약문】
Ⅰ. 서론
Ⅱ. 도학적 지평에서 담약수의 철학
Ⅲ. 리(理)의 재정위(再定位)와 심(心)의 재정의(再定義)
Ⅳ. 결론
【참고문헌】
도움이 되었어요.0
도움이 안되었어요.0
알림 설정하기
논문 오류신고
신고항목
이 논문의 참고문헌을 찾아주세요.
이 논문의 참고문헌을 찾아주세요.
구매하기
장바구니
인용양식
공식 스폰서와 앰부시 마케팅의 광고 크리에이티브 효과 : 2009 광저우 아시안게임을 중심으로
기관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