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비밀번호 변경 안내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 변경 안내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이용정도, 지속이용의사,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UCI(KEPA) : I410-ECN-0101-2013-331-001371330
이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정도와 지속이용의사 그리고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스마트폰 이용자 300명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기능의 앱 이용정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생산성, 여가오락, 뉴스정보, 위치기반서비스, 거래 기능순으로 나타났다. 애플리케이션의 채택과 이용에는 기술수용모형에서 제기된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뿐만 아니라 앱이 가지고 있는 자랑/과시, 인기/유행과 같은 사회적 속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나아가 개인이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타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의도는 전통적인 유용성과 용이성 역시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과시할 만하고 유행하는 앱이라는 인지된 속성이 보다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새로운 미디어나 기기의 채택과 이용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설명되어온 인구사회학적 속성 가운데 연령을 제외하고 성, 교육수준, 소득수준은 스마트폰 앱에서는 설명력이 떨어졌다. 반면, 소비기술과 혁신성향은 이용정도와 지속이용의사, 그리고 추천의사에 모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us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recommendation for smartphone applications. Using a web survey of 300 smartphone users, it was found that use of communication applications was highest followed by utilities, entertainment, news/information, LBS, and commerce. In the adoption and use of applications, not only usefulness and ease of use proposed by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ut also social attributes such as popularity and showing off have significant influences. Furthermore, the social attributes have higher influence on the willingness to recommend applications than traditional usefulness and ease of use. Socio economic variables, which had been considered critical in new media adoption, were not effective in predicting use of smartphone applications. Only ag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Meanwhile, consumption skill and personal innovativeness were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smartphone applications.
1. 문제제기
2. 선행 연구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도움이 되었어요.0
도움이 안되었어요.0
알림 설정하기
논문 오류신고
신고항목
이 논문의 참고문헌을 찾아주세요.
이 논문의 참고문헌을 찾아주세요.
구매하기
장바구니
인용양식
공식 스폰서와 앰부시 마케팅의 광고 크리에이티브 효과 : 2009 광저우 아시안게임을 중심으로
기관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