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Ⅰ. 들어가며
Ⅱ. 콜럼버스 상: 문명을 가지고 온 발견자에서 식민주의의 상징으로
Ⅲ. 레포르마(Paseo de la Reforma) 거리: 권력에 의한 국가정체성 시각적 재현 공간
Ⅳ. Tlalli, La Joven de Amajac, 반 기념물 ‘정의’: 탈식민, 민주주의, 저항 담론의 경합
Ⅴ. 나가며
참고문헌
국문요약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Book Review] Visual Politics and North Korea: Seeing Is Believing
Korea Journal
2022 .09
시각 이미지의 정치성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접근
미술과 교육
2016 .06
시각적 연구방법에 대한 인식론적·방법론적 고찰
교육인류학연구
2017 .01
2014년 쿠바, 개혁의 결과와 시민권 보호를 위한 제도적 틀
라틴아메리카이슈
2015 .06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KIEP] 중장기통상전략연구
2023 .12
비주얼 리터러시로서의 미술 Ⅱ: “과정 중심 시각교육”의 연결성
미술과 교육
2020 .01
컴퓨터 과학 과목의 시각 데이터 설계 및 코딩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문해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9 .08
선거 포스터의 시각정치적 언어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을 중심으로
문화와 정치
2022 .06
19대 대선 TV토론에 대한 방송뉴스 영상의 균형성, 진실성 연구 : 심층학습 기반 동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한 후보자들의 등장빈도, 표정, 응시방향 분석
방송통신연구
2021 .04
예술기반 탐구방법을 활용한 미술 중심의 융합 수업에 관한 실행연구
미술과 교육
2019 .04
포스트 신자유주의 시대 멕시코의 정치변동과 종교의 역할 - 복음주의 우파정당 사례를 중심으로
중남미연구
2020 .05
청년세대의 정치: 정치의 주변화인가 새로운 정치의 등장인가
사회과학연구논총
2020 .10
난독증 연구를 통해서 본 시각 시스템과 읽기 처리 과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21 .09
시각 이미지의 정치성과 비평적 담론 : 인문학적 접근을 위해
미술과 교육
2015 .12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각자료의 종류, 역할, 그리고 사회-기호학적 특징 분석
한국초등교육
2017 .01
시간적 거리에 따른 메시지 유형이 광고반응에 미치는 효과에서 광고비주얼의 시각적 관점의 조절적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2016 .01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장애관과 오감교육의 필요성 : 영화 〈천국의 속삭임〉중심으로
장애의 재해석
2021 .12
기능시각 평가 검목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시각장애연구
2018 .01
학습자의 자유 연상법에 따른사회 교과서 지리영역 시각 자료의 적합성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17 .01
초등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비주얼 씽킹의 유형 및 수업 효과
초등과학교육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