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반론보도 신청 이유
2. 반론과 함께 정정을 신청하는 내용
3. 통계자료의 왜곡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반론을 읽고
역사비평
2008 .02
[반론과 재반론]재반론:정진석 교수의 반론에 답한다
역사비평
2004 .08
▣ 논평과 반론
중국소설논총
2006 .01
<동성애에 대하여>에 대한 반론
인물과사상
2000 .12
石亭 李定稷의 ‘論王陽明’에 대한 반론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5 .10
『조선일보』유일한 악(惡)은 아니다:'조그만 실천'의 반론에 답한다
인물과사상
2000 .10
[반론]조선후기사에 대한 입체적 이해를 위하여-오종록 교수의 서평(『역사와 현실』46, 2002)에 대한 반론-
역사와현실
2003 .03
반론-오해와 이해 부족의 집중분석
역사비평
2003 .02
진중권의 반론에 답한다
인물과사상
2002 .07
[반론] 한국 근대사 연구의 오래된 도식과 편견 - 『역사와 현실』53호 도면회 교수의 서평에 대한 반론 -
역사와현실
2004 .12
강준만 글에 대한 반론
인물과사상
1999 .08
<한국어의 계급성을 타파하자>에 대한 반론
인물과사상
1999 .03
'실명비판'과 '뒤통수 때리기 비판':이진우의 반론에 답한다
인물과사상
2000 .10
[9월호 김태경 기자의 글에 대한 반론]'조선일보스러운' 문제제기에 다름 아니다
인물과사상
2004 .10
[반론]북미 연구자들의 한국역사학 인식
역사비평
2004 .02
임지현 교수의 반론에 답한다
인물과사상
2000 .04
정진석 교수의 반론문
인물과사상
1999 .07
[역비논단]조선일보 폐간을 둘러싼 논란과 진실
역사비평
2004 .02
박정희를 어떻게 볼 것인가? :진중권의 반론에 답한다
인물과사상
2000 .09
「사관의 철학적 기초」 에 대한 몇가지 반론
철학연구
198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