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the demand for higher houses and the preference for the quality of life grew, super-high-rise housings over thirty-stories came out in the 1990's. The higher and the larger housings become, the more community spaces are needed. Besides the super-high-rise housings contain complexly various spaces for leisure and the fittings of a store in the residential building.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n the indoor public space of super-high-rise housing. The method of research was based on literature review, field research and an interview with specialists. The object of study is the residential buildings with more than thirty stories that have been built in Seoul since 1999.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조사방법 및 내용

4. 초고층 주거건물 내 공용공간의 특징분석

5. 공용공간의 이용현황 분석

6.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40-015200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