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引言
Ⅱ. 關于《白眉故事》
Ⅲ. 《白眉故事》的韓國流行及其活用
Ⅳ. 結語
【參考文獻】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유서의 종합적 연구(Ⅱ) - 한국 유서의 간행 및 특색
중어중문학
2003 .06
明代類書、小說和鄧志謨
동아인문학
2006 .06
조선시대 여성 유서(遺書)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 탐색 - 남성 유서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020 .01
明代 ‘故事’ 命名 類書 연구 : ≪和刻本類書集成≫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3 .04
조선 3대 유서의 편찬 의식에 대한 연구
다산과 현대
2010 .12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
2007 .01
‘마지막 한 사람’의 죽음과 삶 : 권정생의 〈유서〉
한국여성신학
2012 .01
『兒戱原覽』의 文獻的 성격에 관한 硏究
동방한문학
2010 .01
조선 3대 類書의 形成 經路에 대한 연구
동방한문학
2011 .01
臺灣 公藏 類書 목록과 판본 연구
동아인문학
2017 .12
중국 근・현대 類書의 종합적 연구
동아인문학
2019 .12
[해제] 영원한 경계인의 ‘문학적 유서’ : 최인훈 「바다의 편지」
황해문화
2003 .12
조선 후기 유서(類書)와 서학(西學)―『성호사설』과 『오주연문장전산고』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19 .01
조선후기 類書類에 나타난 민속종교 자료
역사민속학
2010 .07
조선어 렬거표지 연구
중국조선어문
2017 .11
조선의 성에 대하여
한글
1938 .12
조선말의 풍부성
한글
1938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