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인구학회 한국인구학 韓國人口學會誌 第17卷 第1號
발행연도
1994.6
수록면
87 - 114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1950년대부터 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은 家族計劃을 위주로 하는 人口抑制政策을 추진하여 왔다.
특히 家父長制度를 중심으로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어서는 男兒選好觀이 출산력 저하나 피임실천율의 증대에 지대한 沮害要因으로 일관해 왔다. Sheps(1963)는 실증적으로 2명의 아들을 갖기 위해서는 약 3.9명 정도의 자녀를 두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한바 있다.
이와 같은 남아선호관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韓國과 臺灣은 1980년대 중반에 이미 1.6명 수준의 저출산율을 이룩하였으며, 1970년대에 인구억제 정책을 시작한 中國도 2명 수준으로 저하되어 가족계획사업의 성공사례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국가들의 출산율은 지난 20-3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너무나 급진적으로 감소된 반면에 남아선호관의 상존으로 인한 性比(女子 100명당 남자수)의 不均衡을 초래하게 되었다. 한 예로 한국의 경우 1960년도만 해도 6명 이상의 자녀를 출산하는 과정에서 1-2명의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높았으나, 최근에는 출산율이 2명 이하로 저하되어 아들을 둘 수 있는 확률은 과거보다 3-4배나 어려워졌기 때문에 人爲的인 방법으로 아들을 두는 부모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中國은 1970년대 중반기부터 강력히 추진되어온 소위 “한자녀 갖기 운동”으로 인하여 女兒出?인 경우 영아살해 또는 出生의 미신고등 많은 사회적 물의를 야기하였고, 최근에는 초음파검사를 통한 선택적 人工姙娠中絶(胎兒가 女兒인 경우)의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성비는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된 1980년대 중반기부터 급격히 증가되었다. 즉 인구전체에 대한 성비는 1980년의 103.9명에서 1985년에 110명으로 증가하였고, 1990년 116.9명으로 증가되었다. 성비는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높아지는 추세이다. 1991년 조사에서 출산율 종료한 부인의 경우 1자녀의 성비는 무려 206명이나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자녀를 위한 부인이 아들을 둔 경우 1자녀에서 斷?을 결심하기 때문인 것이다.
統計廳 자료에 의하면 성비는 무엇보다도 자녀의 出?順位와 밀접하다. 1991년 출생신고자료의 경우 첫아이의 출생시 성비는 106.1명이고, 둘째아이가 112.8명이나, 셋째아이는 184.7명으로 크게 증가하고 넷째 이상의 경우는 212.3명이나 된다. 동일한 出生順位라도 이미 두고 있는 자녀의 성에 따라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1991년도 3번재 출산의 경우 딸만 2명을 두고 있는 경우가 136.3으로 이들만 2명 또는 아들과 딸을 각각 1명씩 두고 있는 경우에 비해 性比를 보이고 있다. 자녀를 출산하는데 있어서 처음에는 아들을 기다리지만 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적극적으로 아들을 낳고자 하는 노력을 지속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즉 姙娠한 자녀의 性이 딸로 판명되면 인공임신중절을 통해 임신을 종결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미 출생한 자녀의 性構成은 임신결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즉 姙娠이 인공임신중절로 歸着되는 確率은 부모가 이미 아들을 두고 있는 경우에 一貫性 있게 증가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남아선호관은 임신결과를 결정할뿐 아니라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에 의한 性比의 不均衡을 초래하는 주요 변수로써 浮刻되었다. 특히 피임실천이 普遍化되고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이용이 손쉬운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남아선호관이 출산력 저하에 저해요인으로서가 아니라, 人爲的이던 自然的이던 간에 아들만 두면 斷?하는 現今의 出?風土下에서는 남아선호관이 오히려 출산력저하에 肯定的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胎兒의 性 識別을 통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의 件數는 1990년 한해에 약 20,000건 정도가 되고, 1986-1990년 사이에 총 80,000건으로 추정된다. 이 수치는 출생한 여아수의 5%에 해당한다. 현재 출생시 성비의 불균형은 年間 總出生數의 10% 미만에 불과한 3번재 이상의 출산에서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인구학적인 측면에서는 큰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 출산율의 감소와 더불어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이 년간 출생수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둘째, 첫째出?順位로 확산된다면 성비의 불균형은 급진적으로 가속화되어 전통적 結婚慣習의 崩壞등 인간의 生態界를 파괴하는 새로운 차원에서의 社會人口學的인 문제가 야기될 것이다.
結論的으로 性比의 不均衡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우리 나라의 전통적 意識構造인 남아선호관의 常存과 최신의 醫療技術에 의한 선택적 인공임신중절에 기인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是正하기 위한 제반 社會制度的 支援施策은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CENT CHANGES IN SEX RATIOS AT BIRTH
Ⅲ. IMPLICATIONS
Ⅳ. Summary
References
《國文抄錄》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322-017312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