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천인합일'이라는 명제를 흔히 '인간이 하늘과 연치해야 한다'라는 현대어로 번역하고 있는데, 사실 '천'은 하늘과 땅을 합쳐 이르는 말이다. 『주역』의 논리에 따르면, 만물은 서로 유기적 연관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생명 계통이고, 하늘과 땅은 이 생명계통을 낳고 기르는 초월적인 존재이다. 그래서 '천지의 대덕은 낳는 것이다(天地之大德曰生)'이라 했다. 그리고 인간은 자신의 노력으로 천지와 합치될 수 있는 동물이므로, 하늘, 땅과 함께 '三材'를 구성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주역에서의 천인합일 명제는 '인간이 응당 天地의 道와 德을 이어나가야 한다'라는 가치판단 이다. 유교에서는 '천명' 을 직접 인간성으로 규정지음으로써, 천인합일을 '인간이 성실한 본성을 이루어 내야 한다'는 명제로 끌고 나간다. 노장은 하늘, 땅과 인간의 통합성을 말물이 고유하고 있는 독특하고 다양한 가치를 지키는데 있다고 주장하면서 천인 합일을 '도법자연'이라는 원리로 풀어 나간다. 모두 말하자면 주역, 유교와 도교에서의 천인합연 사상은 각각 천지경지, 도덕경지와 자연경지를 이루어 내고 있다. '境地'라는 말은 '境界', '疆域'이라는 말에서 파생되었는데, 본래 의미는 인간이 살고 있는 땅이나 밭의 범위를 가리킨다. 옛적부터 인간은 땅을 합리하게 소유함으로써 삶을 유지할 수가 있었고, '나의 노동', '나의 재산', '나의 집', '나의 자유'가 생기게 된 것이다. 이로부터 경지라는 말은 땅이라는 범위를 벗어나 '인간의 합법적인 거처'라는 의미로 확장된다. 소위 형이상적 경지란, 인간이 하늘, 땅, 만물과 자신에 대한 사상적 각오인 바, 이는 인간이 모든 존재를 경험하는 기본 방식을 제공해 주고, 모든 상상과 자유를 향유할 수 있도록 공간을 넓혀 주며, 모든 학문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평을 구성해 주고, 인생의 종국적인 가치를 제시해 준다. 사실 주역에서의 천지경지, 유교에서의 도덕경지와 도교에서의 자연경지 사이의 경계는 선명하게 갈라진 것이 아니라 서로들 이어져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종합은 차별을 지니면서도 서로 이어진 원만한 탈현대적 사상경지를 이루어 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학계에서는 '탈현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만약 우리가 동아시아의 사회현실을 '전근대와 현대가 뒤섞인 복잡한 상태'라고 파악한다면, 동아시아의 탈현대 담론은 복잡한 사회현실에 더욱 혼란을 조성하는 논의라고 볼 수있겠다. 그럼에도 불문하고 저자가 탈현대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이유는, 새로운문명에 기대와 믿음을 담은 이 개념이 존재함으로 하여 사회현실의 복잡한 요소들이 새로운 목표로 정리되기 때문이다. 동양사회에서 독재제국체제는 이미 몰락되어 가고, 이 고대 제국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했던 천하 이념도 합리성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고대 제국의 문명이 몰락되었다고 해서 우리의 역사적 경험과 삶의 지혜가 결코 허무로 되어버린 것은 아니다. 다만 낡은 제국체제에서의 정체성을 잃은 까닭으로 우리의 역사적 경험과 삶의 지혜는 유령처럼 동아시아의 상공을 떠돌고 있다. 비록 이 유령이 때로는 시대와 어울리지 않는 보수적인 힘으로 작동되기도 하지만, 더욱 많은 경우에는 새로운 문명창조를 위한 잠재상태, 준비상태나 기대상태로 활약하고 있는 것이다. 서양의 현대적 가치를 표준으로 본다면 이 부분의 사회현실은 문론 '전근대'로 규정될 것이다. 한편, 동양사회의 역사적 전환은 자유, 민주, 이성을 중심으로 구성된 서양문명을 받아들이는 데서 비롯되었으나, 그렇다고 해서 현대 서양인들의 가치관과 문명의 틀이 우리가 추구해야할 이상적인 모델은 아닌 것으로 보여 진다. 동양사회에서 서양문명을 수용하기 시작했을 때, 서양문명은 이미 자체의 모순과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했었다. 개인주의에서 오는 절대적인 고독과 자유의 도피, 인간중심주의가 가져다준 자연환경의 악화, 그리고 이성의 도구화 등 문제들은 현대성 역시 극복되어야할 대상임을 말해주고 있다. 결국 탈현대라는 개방된 안광으로 볼 때, 전근대와 현대적 요소들은 주어진 문 명의 틀에 고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새로운 문명의 전환을 맞이하기 위한 계기로 활성화 되어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새로운 문명에로의 전환은 허무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전통과 현대적 가치들에 대한 활성적인 재해석으로부터 생겨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천인합일 사상을 탈현대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해 보려는 시도이다.
The ancient idea of Man-Heaven Unity is always translated into "man should keep up with the heaven",although the heaven means heaven and earth in fact. According to the logic of the book of changes,everything on the earth is a life system that is of inter-correlative and is created and cultivated by the transcendent heaven and earth. This is the meaning of great virtue of heaven and earth is birth. In addition,man is the only animal that can be close to the heaven and earth by its own endeavor. As a result,man is prescribed one of the three materials (the others are heaven and earth). Therefore the proposition of Man-Heaven Unity in the book of changes is a value judgment that requires man should inherit the great virtue of heaven and earth. Confucianism regards fatality as human nature and explains the proposition of Man-Heaven Unity as man should accomplish the inherent honest nature. Taoism thinks the unitive essence of heaven,earth and man as everything keeping its own nature alone and explain the proposition of Man-Heaven Unity as Tao takes nature as law. In a word,the idea of Man-Heaven Unity constitutes the sphere of heaven and earth,the sphere of morality,and the sphere of nature in the book of changes, Confucianism and Taoism separately. The word 'sphere' means the scope of the land and field originally. From the old, man can be in possession of his selfhood, labor, property,home and freedom only on the condition of possessing a land. Therefore the meaning of sphere extends from the limit of land to the rational spirit home. The metaphysical sphere what is called means man's idea consciousness towards everything on the earth and himself that provides the fundamental mode of experience of all beings, opens up the idea horizon of logic thinking and free association and unfolds the ultimate value of life. In fact the limit among the sphere of heaven and earth of the book of changes, the sphere of morality of Confucianism and the sphere of nature of Taoism is blurry, so a orbicular and pluralistic super-modern metaphysical sphere can come into being by integrate them into a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