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Ⅰ. 황해도 굿 개요
Ⅱ. 황해도 굿에서의 종이 진설품
Ⅲ. 황해도 무속과 화공
Ⅳ. 신화(神花)와 신구(神具) 종류와 의미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무가의 전승 주체
한국민속학
2002 .06
동해안굿 무가의 존재양상과 의미
한국무속학
2008 .08
호남지역 종이무구의 변화양상과 상징성 고찰
한국무속학
2007 .02
Nationalism and Shamanism : Creating Possession with Shamanic Ritual
종교연구
2001 .03
황해도 맞이굿 형식과 특성 고찰
한국무속학
2008 .02
한국 무신의 구조 연구
비교문화연구
1999 .12
무구(巫具)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무속학
2005 .08
True Grit : Gender in Korean Shamanic Narrative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1998 .09
서울굿의 무구 연구
한국무속학
2006 .08
계룡산 삼신당굿 무경의 구조와 의미
우리말글
2010 .12
Acquired Tastes: Urban Impacts on Jeju Shamanic Ritual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8 .06
무가의 정서 표출 방식과 연행 현장적 의미
한국무속학
2001 .11
무속의례의 물적 토대와 재화의 분배
비교민속학
2009 .04
Korean Shamanic Initiation as Therapeutic Transformation : A Transcultural View
Korea Journal
1982 .11
中國 巫俗 神話의 比較 分析 - 韓國 巫俗 神話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논집
2001 .10
남해안지역 굿놀이의 양상과 비교
한국무속학
2010 .08
손진태 무가 자료의 현황과 성격
한국무속학
2007 .02
씻김굿 무구(巫具)의 기능과 극적 의례성
한국무속학
2007 .08
제주도 무조신화 (巫祖神話)와 신굿
비교문화연구
1999 .12
무가권에 따른 서사무가의 전승 양상
한국무속학
200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