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면서
Ⅱ. 경험적 사회과학의 전사(前史): 17세기 이래의 ‘통계’
Ⅲ. 케틀레의 통계학과 종적 인간에 대한 경험과학
Ⅳ. 사회현상의 통계적 규칙성과 사회학
Ⅴ. 맺으면서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사회의 생존과 지식의 생성 : 뒤르켐 지식 사회학의 이면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5 .12
사회학과 나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3 .12
사회조사와 한국 사회학 : 나의 경험을 중심으로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 .01
사회학과 사회운동
경제와사회
2012 .09
‘교재사회학’으로서의 사회조사와 통계분석의 기법
한국사회학
1994 .03
제도권 밖에서 본 한국 사회학 : 그 곳에 사회학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5 .12
사회학과의 현황과 사회학교육의 개선
대학교육
1990 .01
한국사회학 어디로 가야하나
한국사회학
1988 .10
세계화와 정보 사회를 위한 새로운 사회학 : 동감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0 .06
과학사회학이란 무엇인가?
대학교육
1999 .01
한국사회학의 북한사회연구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1995 .10
꿈꾸는 사회, 희망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심포지움 논문집
2017 .11
농촌사회학에서 농업사회학으로
농촌사회
1997 .12
지식생산의 구조와 이론사회학의 위상 : 『사회와 이론』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2004~2010
사회와이론
2011 .11
사회학의 위기에 『응답하는 사회학. 인문학적 사회학의 귀환』
사회와이론
2016 .11
한국사회학의 도약을 위한 과학사회학적 모형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9 .12
농촌사회학의 새로운 영역으로서의 농식품사회학을 기대하며
농촌사회
2002 .06
21세기 사회학과 사회학 교육의 새로운 전망(기조발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4 .06
세계수준의 한국사회학을 향하여 : 과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몇가지 제언
한국사회학
200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