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고고학이란 어떠한 학문인가?
3. 고고학연구의 기본틀
4. 한국고고학의 연구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Korean Archaeology Today
Korea Journal
1981 .09
고고학 해석의 지평 넓히기 – ‘고고학 자료’에 대한 다양한 인식 검토 –
인문논총
2012 .01
한국고고학의 신자료 일이
동아문화
1964 .10
중국고고학의 현상
동아문화
1978 .12
연구 주제 다변화의 모색 : 2010~11년 역사고고학 연구의 동향
역사학보
2012 .09
Archaeology and our old Testament Contemporaries
신학지남
1967 .12
Possible Limits to Reconstruction of a Culture : Some Reflections on Archaeology
Korea Journal
1974 .10
역사고고학 연구의 동향
역사학보
2008 .09
성서와고고학 (ARCHAEOLOGY AND THE BIBLE)
신학지남
1932 .03
[Guest Editor’s Introduction] Recent Approaches in Korean Archaeolog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9 .06
1990년대 이후의 한국 구석기고고학 연구성과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02 .01
Current Archaeology in North-Korea and Prospects for Academic Exchange with South Korea
Korea Journal
1991 .03
한국 고고학의 발전1
동아문화
1982 .12
考古學
역사학보
1990 .12
考古學
역사학보
1993 .12
考古學
역사학보
1996 .12
考古學
역사학보
1984 .12
考古學
역사학보
1987 .12
중국 중세 고고학 성과의 집대성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編著, 中國考古學· 三國兩晉南北朝卷(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8)
중앙고고연구
2019 .01
New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Production and Exchange in Korean Archaeology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