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24卷 第11號
발행연도
2008.11
수록면
181 - 190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concept of beauty in architecture has been changed and also its category has been incessantly extended. The sublime becomes the one of the major notions of contemporary aesthe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esthetic notion of sublime and its adop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o do this, the history of sublime has been analyzed and classified by period. Jean Francois Lyotard is a one who developed the concept of sublime into contemporary concept. He appled his notion of sublime to avant-garde. And also it is able to explain characteristics of recent architectural works, especially of Rem Koolhass' works to the concept of sublime. Rem Koolhass' works represent bigness, formless and non-representation as modern characteristics of sublime.

목차

Abstract
1. 서론
2. 렘 쿨하스의 거대함과 숭고의 문제
3. 숭고함의 현대적 의미
4. 현대 건축에 있어 숭고함의 적용 - 렘 쿨하스의 건축론 및 그의 작품분석을 중심으로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