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채영숙 (영산대학교)
저널정보
동북아시아문화학회 동북아 문화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제21집
발행연도
2009.12
수록면
199 - 212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Dragon is a global culture code. He appears in various designs of different genres. This paper considers the origins and differenc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dragons. The classic shape of a dragon appears in the literature, cultural heritage, consumer, and computer game contents.
Recently a dragon in the developed computer game looks like a combination of Eastern and Western dragons. Sometimes dragon character has the appearance changed from a dinosaur.
The emergence of the dragon is a huge variety of types and appearance. The role of the dragon character is placed in human thinking caught on any part of duality of good and evil. Dragon monster has some classic skills recorded in the literature and technical skills made from a combination of imagination.
Computer games based on fantasy story are successful in the current games marke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dragon depend on the nature of game content pursued diversity and creativity of computer game designer and graphic designer.

목차

1. 서론
2. 용의 기원과 지역별 용의 유형
3. 게임 콘텐츠에 등장하는 용의 형상과 역할
4.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910-001658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