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법상종의 유래와 발전
Ⅲ. 법상종에서 두 정토의 융합
Ⅳ. 감산사 미륵보살입상과 아미타불입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도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대 중국 불상 조상기와 정토신앙
불교연구
2015 .01
정토사상의 분석적 이해
철학연구
2002 .05
잘삶의 의미-왕생정토 사상을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2008 .01
원효의 정토사상에 담긴 화쟁의 정신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13 .01
고대 일본의 불상 조상기와 정토신앙
불교연구
2019 .01
제불의 정토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10 .01
한국 정토사상의 특색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10 .01
중국근대 정토법문의 부흥과인꽝(印光)의 정토사상
불교연구
2013 .01
한국 불교양식에 나타난 정토신앙
불교학보
1976 .12
청대 팽소승(彭紹升)의 화엄염불론과 법신설
불교학연구
2012 .01
서방정토 극락세계의 존재에 관한 연구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10 .01
정토신행에 드러난 조사신앙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17 .01
조선전기 관경십육관변상도에 보이는 고려 전통의 계승과 변용-정토인식과 왕생관의 변화를 통해-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8 .01
불교가사에 나타난 정토사상 고찰
우리말글
1992 .06
정산종사의 정토관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00 .12
조선 말기의 정토신앙과 아미타계 괘불화
강좌 미술사
2009 .01
淨土經典의 往生思想과 鄕歌에 나타난 彌陀信仰 연구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09 .01
淨土思想에 있어서 本願思想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2007 .01
고대 한국의 불상 조상기와 정토신앙
역사와실학
2016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