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두두리 도깨비와 난타가 만나는 까닭
2. 도깨비 얼굴의 변천사
3. 난타의 기능과 은유
4. 오늘의 도깨비, 사이버 공간의 난타
5.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도깨비 인식도 조사 결과 분석
한국민속학
1986 .10
『고려대장경』 불교설화의 도깨비 연구 : 인도와 중국 불경의 도깨비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3 .04
우유 도깨비
창비어린이
2009 .06
제주도 도깨비 信仰
한국학논집
2003 .12
도깨비의 정체(正體)
한국학논집
2003 .12
蝟島의 도깨비이야기譚考
한국민속학
1988 .09
도깨비 발톱에 찍히다 외
시조시학
2013 .06
『대장경』 간행 이후 불교 도깨비 수용 양상
우리말글
2014 .03
도깨비신앙의 유형과 전승양상
민속학연구
1997 .10
도깨비 전설과 테크놀로지 : 박하익 장편동화 『도깨비폰을 개통하시겠습니까?』 창비 2018
창비어린이
2018 .06
'도깨비'의 심리학적측면과 상징성 : C.G. Jung의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한국학논집
2003 .12
장편동화에 나타난 도깨비 캐릭터 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3 .06
[제9회 시조시학상 신작] 도깨비
시조시학
2010 .11
우리나라의 도깨비 도로-심리학적 설명과 활용 제안
탐라문화
2018 .01
불교설화로 본 도깨비 어원 연구
우리말글
2015 .12
도깨비 설경과 깨비굿 영험담의 활용 연구 : 그림동화의 도깨비 형상과 이야기 활성화를 목적으로
인문콘텐츠
2011 .06
예이츠의 요정과 『삼국유사』의 도깨비 연구
한국 예이츠 저널
2018 .01
[문학사 발굴] 「황소와 도깨비」는 이상의 창작인가
창비어린이
200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