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들어가는 말
1. 편찬과정과 주요 쟁점
2. 비판에 대한 반론
맺음말: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하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편찬 방향과 전망
실천민속학연구
2009 .02
[인터뷰 : 윤경로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역사적 사실은 반드시 기록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인물과사상
2005 .10
『다산학사전』의 유형과 내용 분류 체계
한국사전학
2014 .05
중국 근・현대 類書의 종합적 연구
동아인문학
2019 .12
백과사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현황 분석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도판 자료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09 .11
Law in Encyclopedia of Rhetoric
한국수사학회 월례학술발표회
2004 .04
조선 3대 유서의 편찬 의식에 대한 연구
다산과 현대
2010 .12
온라인 백과사전 만들기 : 다음백과 2007 개편을 중심으로 한 필드 스터디
한국사전학
2008 .04
[특집 - 역사용어 바로 쓰기] 중간파인가 중도파인가 합작파인가
역사비평
2005 .11
사전 편찬이 웨 어려운가?
한글
1936 .02
큰 사전 편찬을 마치고
한글
1957 .10
[BOOKS] Encyclopedia of Korean Studies : Han-gukhak Taepaekkwa Sajŏn, Encyclopedia of Korean Studies, Encyclopedia of Korean Studies Compilation Committee, ed. Seoul : Eul Yoo Publishing Company
Korea Journal
1972 .12
한국 類書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
2007 .01
사전 편찬을 위한 세 가지 문제
한글
1971 .12
사전 편찬 문제 문답기
한글
1937 .12
〈한국어기초사전〉의 구조 및 의의 : 편찬과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2 .09
다중매체 시대의 백과사전 : ‘교육’의 효용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2012 .04
A Critical View on Pro-Japanese Literature
Korea Journal
1973 .02
Japanese Studies in Korea
Korea Journal
196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