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왕릉의 현상
Ⅲ. 조선시대 왕릉의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 전기 왕릉제도의 성립과 石人ㆍ石獸 양식 연구
미술사논단
2009 .12
조선왕실 무덤, 園의 창안과 전개
미술사논단
2015 .12
조선왕릉의 통합적 시각정보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5 .10
顯德王后의 昭陵 석물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3
洪陵과 裕陵의 석물조각
미술사연구
2007 .12
조선 왕릉과 종묘의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미술사학
2017 .02
寶山墓를 통해 본 遼代 초기 시각문화
미술사논단
2015 .12
조선 태조비 神懿王后 齊陵 연구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09 .09
조선 왕릉 石獸 연구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4 .12
광통교의 구(舊) 정릉(貞陵) 석물 연구
미술사논단
2019 .12
關中地域 唐代 皇室壁畵墓의 도상연구
미술사논단
2006 .12
조선시대 사대부 묘역의 무인석상 복식에 대한 고찰
한복문화
2012 .08
신라하대 왕릉 조각의 완성, 원성왕릉 조각의 제작시기 재검토- 왕릉 조영과 왕릉 조각의 시기 불일치 문제 -
불교미술사학
2012 .01
中國 古墳壁畵 연구의 회고와 전망
미술사논단
2006 .12
16세기 후반 전주최씨 일가 묘 출토복식의 사료적 가치
한복문화
2007 .04
고구려 고분벽화의 미학적 해석 - 안악3호분과 덕흥리 고분, 무용총 벽화의 인물풍속도를 중심으로 -
예술과 미디어
2012 .01
高句麗 古墳壁畵의 服飾-舞踊塚. 藥水里古墳. 大安里 第 1號墳 壁畵를 중심으로-
한복문화
2001 .09
廣州 仙東里 新羅時代의 石室墓 一考
미술문화연구
201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