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의 다양한 놀이와 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남생이놀이, 덕석몰기, 기와밟기, 대문열기, 고사리끊기, 청어엮기 등의 강강술래 관련 놀이를 상당 부분 제시하고 있다. 그 중 청어엮기 놀이는 앞ㆍ뒤 사람의 손을 잡은 상태에서 팔이 꼬이지 않게 몸을 회전시켜서 엮거나 풀어야 하는 등 여타 놀이보다 난이도가 높은 편이고 개인의 신체활동도 많아 교사와 학생들의 흥미도가 높다. 하지만 제한된 공간에서 다수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놀이와 활동 중심의 수업을 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도 노출하고 있다. 먼저 선두(첫번째) 학생의 역할이나 활동에 대한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만 나머지 학생들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 방법이 제시되지 않기 때문에 교사가 지도하기 어렵다. 또한, 학급 및 학교 형편에 따라서 놀이에 참여하게 되는 학생 인원수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에 따른 구체적인 대처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한정된 교실에서의 놀이 활동 공간 확보에 대한 지도 방법은 물론, 여러 명의 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다양한 응용 코너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청어엮기 지도 방법에서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장면의 사진자료를 활용하여 교사와 학생을 위한 실질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두 학생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따른 나머지 학생들의 역할이나 활동 모습을 제시하여 한 모둠의 모든 구성원들이 각각 맡은 역할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어떤 위치에서 놀이에 참여하게 되더라도 각자의 역할이나 활동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에 교사나 학생의 이해를 돕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둘째, 학교 실정에 따라 놀이에 참여하는 인원수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하여 5명 내외, 10명 내외, 30명 내외 등으로 분류하여 지도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즉, 5명 내외의 한 그룹을 구성하여 각 그룹별로 놀이 방법을 익힌 뒤, 두 그룹을 한 그룹으로 통합하여 10명 내외, 30명 내외 등의 순서로 점차 인원수를 늘려가면서 운영하여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셋째, 제한된 공간인 교실에서의 공간 활용 방법을 비롯하여 특별실(강당, 운동장 등)을 활용한 놀이 지도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비교적 놀이 활동을 하기에 좁은 공간인 교실에서 책ㆍ걸상을 한쪽 벽면이나 복도로 이동시킨 뒤 활동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비교적 활동 공간이 넓은 특별실에서는 청어엮기와 관련된 꼬리잡기나 덕석몰기, 남생이 놀이, 대문열기 등의 놀이를 동시에 지도함으로써 아동의 흥미도를 높였다. 넷째, 청어엮기 놀이를 응용한 그리기, 게임, 노래 활동 등을 제시하여 한정된 교실 공간에서의 다양한 운영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청어엮기 활동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는 여러 가지 달팽이 모양을 학생 특성에 따라 반짝이풀이나 색연필, 물감 등의 표현 도구로 그려보고, 수수깡을 활용한 놀잇감을 만들어 게임을 해 보며, 관련 노래인 '청어엮자'를 불러 봄으로써 청어엮기 놀이를 폭넓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가 초등학교 교시들에게 청어엮기 놀이의 구조 이해와 활용에 도움을 주어 학교현장에서 청어엮기를 적극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urrent conditional of music and a course study is emphasise the varicose of children playing and activity such as Namsaeng-i, Deokseok Molgi, Kiwa palkki, Taemun yeolgi, Kosari kkeunkki, Cheongeoyeokki. The most part of these games are related with Kangkang sullae. One of the game Cheongeoyeokki is much difficult to play than other games, but it gives such interesting for children and their teacher,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personal activity. For example, the front person and behind person have to hold their hold their hands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to turn their body in order to untwist their arms or untie that. However, as playing the game and having a lesson for children, it has limited place and there are a lot of problems it has. First of all, there is an explanation a way of activity about the first person who is standing in front, but there is no concrete description, so it is not easy for teachers to teach children. Besides, there is no certain explanation about how many children can participate in the game. Depend of school and class's situati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can be changed. Moreover, there is no description a way of direction which is about having enough space for playing the game in limited place of a class and various forms of the game with the detail description for many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way of essential direc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by using photo material which can shows the detail to people. Firstly, this research shows in different positions of the other student's roles or appearance of activities in order to make understand every student's roles. Furthermore, this can help to understand students whenever they participate in and any where. Secondly, to be considered, school's actual circumstances, the game has to divide as a group, like 5 people, 10 people, or 30 people. For instance, students practice the playing game with the 5 people as a group, then 2 groups joined together as one group to make like 10 people and extend like 20 people and 30 peopl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eople. Thirdly, this study makes suggestion about the way of direction by using the most of space in limited place of class and special place, like an assembly hall or playground. If the place, like a class is lack of space to play the game, chairs and desks have to be removed another place in order to make much space. And when use the special place, the teachers can teach children the Cheongeoyeokki game or other games which is related it such as Kkori jabgi, Deokseok Molgi, Namsaeng-i nori, Taemun yeolgi at the same time and this can give a lot of interesting to children. Fourthly, this study proposes the drawing, playing game, singing and other activities which are application of the Cheongeoyeokki game. For example, students can paint such as snail, which is similar form of the game activity by using a shine tube of glue, crayons or water colours in their different taste. They can also play another forms of game by using a kaoliang stalk and sing a song Cheongeoyeokki to understand the plying of game. To sum up, this research can help to teachers for understanding the game's structure and utilise it, so this can give an opportunity to teach the way of direction about Cheongeoyeokki in school a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