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프로이트- 동일시로의 퇴행, 애증 병존, 가학증
3. 지젝-기만적 역설, 왜곡된 실재, 이데올로기 비판
4. 크리스테바-기표의 실패, 쇼즈의 양가성, 승화와 항문성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신분석비평이 있는가? : 이론의 범람과 읽기의 부재
수사학
2018 .04
셰익스피어극의 여성주의 정신분석비평 연구
코기토
1996 .03
이것은 정신분석이 아니다 : 피터 게이 (2011[2006/1988]).『프로이트Ⅰ: 정신의 지도를 그리다』. 정영목 옮김 / 피터 게이 (2011[2006/1988]).『프로이트Ⅱ: 문명의 수수께끼를 풀다』. 정영목 옮김
현대정신분석
2014 .08
비평 문학의 길
비평문학
1994 .09
멜랑콜리 시학
한국문학과 예술
2012 .03
우리 비평이 갖지 못한 것
창비어린이
2008 .03
비평의 장소와 비평(가)의 임무 : 사회인문학적 지평에서 ‘비평의 가능성’을 음미하기
사회와 철학
2011 .04
예이츠와 S. 지젝: 실재의 탐색
한국 예이츠 저널
2016 .01
『드라큘라』(Dracula)에 나타난 이중적인 여성성 고찰 : 성 비평과 정신분석 비평을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
2009 .04
윤동주의 삶과 시를 보는 관점의 확대와 심화
국제언어문학
2017 .04
한시비평의 비교문학적 고찰
우리말글
1983 .06
사랑을 말하다 : 사랑에 관한 정신분석적 담론과 신학의 만남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4 .04
1910년대 소설에 투영된 개화기 담론의 재조명
현대소설연구
2011 .04
1950~60년대 신비평의 수용과 새로운 비평의 모색
한국근대문학연구
2004 .04
한국교회 어머니의 삶 다시 읽기 : 여성주의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0 .06
Critics of Society
Korea Journal
1986 .09
批評家의 자리와 批評의 機能論을 통해 본 金煥泰 批評論 硏究
한국현대문학연구
2010 .12
길 잃은 시인: 요한 크리스티안 귄터와 멜랑콜리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9 .01
성서비평 방법론과 그 적용 : 역사비평에서 사회과학적 비평을 거쳐 해체주의비평까지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00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