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작은 변명을 통한 눈높이 잡기
2. 김용옥식 글쓰기의 특징과 문제점
3. 체험으로부터 우러난 철학이라는 함정
4. 최신 자료와 해박한 지식의 함정
5. 문제에 대한 강조가 답이 될 수는 없다
6. 과거와의 올바른 대화, 오늘의 올바른 대화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용옥을 어떻게 볼 것인가?(2)
인물과사상
2000 .05
[특집]공자와 노자, 그리고 김경일과 김용옥
오늘의 동양사상
2000 .09
강준만님의 일관되지 못한 김용옥 비판
인물과사상
2000 .04
도올 김용옥의 친일파관(觀)비판
인물과사상
2000 .02
[다시 김용옥을 어떻게 볼 것인가?] '흥행사적 지식인론'
인물과사상
2001 .12
노자에서의 이상적인 인간과 사회
철학연구
1990 .07
노자의 조화로움(和)에 대하여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5 .05
영화수상 역사를 왜곡한 김용옥의 시나리오『개벽』
역사비평
1991 .11
기독교 성서의 이해 : 김용옥 서울: 통나무, 2007, 450쪽
Canon&Culture
2007 .10
하이데거의 길과 노자의 도
철학사상
2002 .06
老子想爾注 를 통해 본 노자사상의 종교화 작업
동양철학
2007 .01
老子와 帝王의 도 - 노자의 ‘전설’과 <노자> 텍스트에 대한 재검토 -
동양철학연구
2012 .01
동학의 노자수용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7 .11
도올 김용옥의 친일파관 비판(2)-윤수정 씨의 글을 읽고
인물과사상
2000 .04
굿바이 '동양철학' 굿바이 김용옥
인물과사상
2007 .09
노자의 생명 존중 정신
철학연구
1997 .12
노자 양생론소고
중어중문학
1985 .08
노자 정치철학의 기조
철학과 현실
1992 .09
노자철학에서 앎의 문제
철학연구
1998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