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생체 측정을 위한 센서 기반 스마트의류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신뢰가 스마트의류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태도가 스마트의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다. 또한 가격탐색과 가격중요성이라는 가격민감성의 조절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센서 기반 스마트의류에 대한 자극물을 제시한 후, 최신 정보기술 선두집단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256부의 설문지를 회수 하였다.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신뢰성 분석과 타당성 분석을 수행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연구가설을 검정하였고, 가격민감성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 이성, 지각된 즐거움, 신뢰는 스마트의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마트의류의 태도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가격탐색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격탐색을 많이 하는 고객일수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격탐색을 적게 하는 고객일수록 신뢰가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가격중요성의 조절효과를 보면, 가격의 중요성을 낮게 지각하는 고객일수록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신뢰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가격의 중요성을 높게 지각하는 고객일수록 지각된 즐거움이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센서 기반 스마트의류 관련 연구와 업체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ttitude on the perceived usefulness(PU), perceived ease of use(PEU), perceived enjoyment(PE), and trust of the smart clothing, the effect of the intention on the attitude of the smart cloth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ice consciousness. To achieve purposes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who are early adopter of new information technology, then 256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fter the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conducted by using SPSS and AMOS, we verified research hypotheses with structural equating model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rice conscious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 PEU, PE, and trus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attitude of smart clothing, and the attitude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Second, PU, PEU, and PE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the smart clothing in a customer group who tries to explore much of the price toward smart clothing, and a trust had an effect on the attitude in a customer group who tries to explore a little of that price. Finally, PU, PEU and trust had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 in a customer group who think lowly about price importance of smart clothing, and PE had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 in a customer group who think highly about price importance of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various guidelines researches and companies relevant to smart clo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