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우리에게 진보란 무엇인가
2. 유럽에서의 진보사상의 대두와 발전
3. 진보의 평가기준과 적용영역
4. 동아시아 및 한국에서의 진보 사상
5. 진보의 위기와 우리식 진보의 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진보가 이기려면
인물과사상
2014 .10
그들은 정말 ‘진보’였던 것일까
자음과모음
2012 .08
지금 우리에게 진보란 무엇인가?
한국민족문화
2010 .07
내가 먹어치운 진보
제3시대
2017 .11
부풀려진 진보와 좁혀진 진보
황해문화
2011 .06
진보정당은 진보적인가?
인물과사상
1999 .10
과연 진보의 시대인가
문화과학
2018 .09
한국적 진보의 전략과 실천 : 진보의 희망을 위하여
황해문화
2005 .06
진보, 일상 속으로 걸어 들어오다
황해문화
2003 .06
진보 개념의 경계: 근대적 진보 개념을 넘어서
문화과학
1998 .12
학문성과 진보성
신학지남
1989 .06
어제의 진보가 오늘의 진보는 아니다
인물과사상
2006 .09
2017-2022, 진보와 보수를 넘어
철학연구회 학술발표논문집
2017 .11
특집1:진보정치세력, 역사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나 한국에서 진보정당은 불가능한가
역사비평
1992 .08
이 시대의 진보에 관한 짧은 생각들
황해문화
2003 .09
진보 논쟁은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인물과사상
2007 .04
피부로 느끼는 '진보'
인물과사상
2000 .01
진보세력 무엇을 할 것인가
인물과사상
2006 .08
한국에서 보수와 진보 가르기
인물과사상
2001 .06
진보란 무엇인가 : 그 뿌리를 찾아서
한국사 시민강좌
2003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