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申宇澈 (중앙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법사학회 법사학연구 法史學硏究 第44號
발행연도
2011.10
수록면
83 - 109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에서는 청조 이후 10면의 변혁기에 등장했던 입헌군주제 헌법문서들, 즉 일본식 이원군주제 헌법문서인 <欽定憲法大綱(1908)>과 영국식 상징군주제 헌법문서인 <憲法重大信條十九條(1911)>, 그리고 수년 전 학계에 그 존재가 알려진 淸末憲法草案稿本에 대해 검토했다. 우선 ‘중국역사상 최초의 헌법문서’로 지칭되는 <欽定憲法大綱>에 대해서는, 그 비교헌법적 연원으로서 <大日本帝國憲法>과 많은 조문들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양자의 동일성과 이질성을 면밀하게 비교?분석했다. 아울러 <欽定憲法大綱>의 구체적 규정내용과 이를 둘러싼 정치적 역학관계 및 그것이 향후 헌정발전에 미친 영향 등, 다각도에서 그 헌정사적 의의와 평가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다음 <憲法重大信條十九條>에 대해서는, 영국식 상징군주제를 채택한 ‘중국역사상 최초의 헌법’으로서 그 헌정사적 의의를 평가하는 동시에, 그 규정내용에 있어서의 권리조항의 결여 등 제반 미비점들을 지적하는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아직 원문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李汪憲草>와 관련하여, 資政院?案 가운데 발견된 <淸憲草甲殘本>과 <淸憲草乙全本> 등 淸末憲法草案稿本의 기본성격과 작성주체 및 그 주요 특징에 관한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欽定憲法大綱(1908)
Ⅲ. 憲法重大信條十九條(1911)
Ⅳ. 淸末憲法草案稿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360-001168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