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I. 머리말
II. 페레스토로이카와 고려인사회의 명절
III.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사회와 단오명절
IV. 맺음말
V.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단오문화유산과 문학콘텐츠
강원민속학
2007 .09
단오에 나타난 공예품 연구
강원민속학
2007 .09
강릉단오제 관련 설화 연구의 동향과 전망
강원민속학
2009 .09
탈근대시대의 강릉단오제
강원민속학
2003 .09
江原道 端午歲時風俗의 樣相과 特質
강원민속학
2010 .12
민속의 문화재화와 관광화 : ‘강릉단오제’의 포클로리즘(folklorism)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06 .06
세시풍속과 콘텐츠
강원민속학
2007 .09
강릉단오제의 원형과 변이양상
강원민속학
2010 .12
韓國 端午假面劇의 歲時的 特徵과 意味
강원민속학
2010 .12
일제 강점기 단오의 변화 : 서울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08 .05
신화학적으로 본 강릉단오제의 특징
강원민속학
2010 .12
도시 공간 속에서 강릉단오제의 전승 및 계승방안 고찰
강원민속학
2007 .09
아시아 단오문화의 문화콘텐츠 개발 방향
강원민속학
2010 .12
태백시의 단오 세시풍속 연구
강원민속학
2007 .09
농경과 세시 풍속의 상관성 연구 : 이앙법의 보급과 단오 풍속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12
강릉단오제 제의의 현황과 진단
강원민속학
2009 .09
강릉단오축제
강원민속학
2001 .09
20세기 북한지역 단오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고찰 : 식민지 시기 단오의 양상과 6.25 이후 사회주의적 변용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15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