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력적인 축제로 거듭나기 위해서 현재 개최되고 있는 축제매력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의미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축제가 지니고 있는 매력성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인 만족도를 비교평가하고자 하며,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보령머드축제를 대상으로 IPA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사분면은 유지부분으로서 축제의 주요 특성중 체험성, 재미성, 독특성, 몰입성, 신기성 등이 두드러졌다. 제2사분면은 집중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서 주로 물리적 환경들이 대부분이다. 제3사분면은 저순위의 축제매력성으로서 축제홍보와 축제참가자에 대한 지역민 환대와 축제장으로서의 지역특성, 교육성이다. 제4사분면은 축제참가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데 비해 만족도가 지나치게 과잉되게 나타난 매력성은 함께 온 이들과의 친목도모, 다른 이들과의 교류, 축제장 주변 자연경관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는 앞으로도 축제를 더욱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체험성, 재미성, 독특성, 몰입성, 신기성에 관심을 가지고 유지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집중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개최시기에는 일시에 많은 축제참가자들이 모여들기 때문에 교통수단이나 도로 등의 접근성과 같은 부분은 축제매력성을 저하시키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는 저순위의 축제매력성에 대하여 축제주최나 운영측면에서 현재이상의 노력은 필요치 않음을 판단할 수 있는데, 보령머드축제는 교육적 매력을 보다 제고할 필요가 있다. 넷째는 보령머드축제는 당일형보다는 주로 숙박형의 관광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주변경관의 개발과 관리에 대해 축제와 관광자원을 연계한 관광지로서 개발할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었다. 앞으로 축제매력성에 대한 사전기대와 사후성과의 비교평가연구를 토대로 다양한 측정변수를 활용한 심층분석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importance-performance measurement in the field of attractiveness about Boryeong Mud Festival. To perform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attractiveness on the festival, evaluated by visitors and to analyze that which attractiveness attributes were need to improve as well as managed. Using a sample of 259, respondents are required to rate attractiveness attributes. IPA proved the research result are then plotted on a two-dimensional matrix.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First, continuous managements(segmentⅠ) were required on the some attributes of variety of program and experience, pleasantness, uniqueness of festival. Second, improvements(segmentⅡ) were needed on the other items of transportation, service scape of festival, clearness. Third, Low Priority (segmentⅢ) were such as education of festival, manner of the local residents and characteristics of local. Forth, possible overkill(segmentⅣ) were such as meet with others, mutual friendship with companion and natural view. Boryeong Mud Festival pointed out in common that continuos maintenance would be necessary for items, such as ’experiences, pleasantness, uniqueness and improvements would be needed on items, such as physical and human scape. Attractions is major determinant to on attitude of festival particip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take efforts to continuous managements and improvements. This paper concluded with implications for the attractiveness of festival and a brief outlook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