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감사의 글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Bacillus circulans α-amylase 유전자의 Bacillus subtilis와 Bacillus megaterium에서의 클로닝 및 발현
미생물학회지
2000 .09
색소기질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의 β-glucanase 정제
미생물학회지
1988 .09
Glucoamylase 유전자의 Promoter와 분비신호서열을 이용한 Bacillus subtilis Endo-1,4-β-D-Glucanase의 효모에서 분비
미생물학회지
1992 .10
Purification methods for extracellular 28- and 42-kilodalton β-1,3-Glucanases from Bacillus circulans IAM 1165
한국생명과학회 심포지움
2005 .04
Bacillus megaterium에서 발견된 Penicillin G Acylase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그 효소의 특성
미생물학회지
1994 .06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acillus subtilis BS16045 isolated from Gochujang
미생물학회지
2017 .03
Control of Motility Development by Early Competence Genes in Bacillus subtilis
한국동물학회 학술대회
2000 .01
Mass production of cellulase by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 A-53
한국생명과학회 심포지움
2006 .09
Bacillus megaterium 의 Enoylpyruvate Transferase 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생명과학회 학술발표회
1998 .01
우모분해세균 Bacillus megaterium F7-1에 의한 Keratinolytic Protease의 생산
미생물학회지
2004 .03
Bacillus subtilis JS-17이 생산하는 Collagenase의 정제 및 특성
생명과학회지
2005 .08
Bacillus subtilis가 생산하는 Phytase의 정체 및 특성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06 .01
Escherichia coli GroEL was Induced by the Expression of the Cloned Bacillus megaterium ATCC14945 Penicillin G Acylase Gene
미생물학회지
1992 .12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Bacillus megaterium 963 and the fermentation of anchovy-jeot
한국생명과학회 학술발표회
2000 .01
Bacillus circulans의 호산성 α-amyl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
미생물학회지
2000 .06
Structural Study on a Butanol Dehydrogenase from Bacillus subtilis
한국미생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7 .04
Enoylpyruvate Transferase Isozymes in Bacillus megaterium
생명과학
1992 .10
Studies on the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 collagenase from Bacillus subtilis JS - 17
한국생명과학회 심포지움
2002 .09
Bacillus subtilis MJP1이 생산하는 Bacteriocin-Like Substances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2007 .01
재조합 균주 Escherichia coli (pLL200K)가 생산하는 Bacillus circulans endo-β-1,3-1,4-glucanase의 정제 및 특성
미생물학회지
200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