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머리
2. ‘상‘ 논의의 양상
3. ‘상‘의 범주 문제
4. 국어의 시제 체계
5. 마무리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적 관점에서의 시제 연구
한국어학
2009 .05
국어 시제 해석에 관한 연구
어문학
2003 .03
국어의 시제, 상 및 서법
언어
1995 .09
시제의 의미 및 사용과 관련된 몇 문제
한국어학
2009 .05
한국어와 스페인어의 시제의미구조
이중언어학
2004 .01
국어의 시제 범주와 상 범주의 교차 현상
서강인문논총
1999 .08
국어의 시제 형태소 체계와 그 기능 변이
한글
2008 .12
러시아어 동사 시제형의 전이적 사용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2018 .01
아랍어 동사의 상(Aspect)과 시제(Tense)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05 .12
한국어의 時相 범주와 표현에 대한 연구 - 相(aspect)을 중심으로 -
우리말연구
2010 .01
한국 대학생 영작문에 나타난 시제 및 상 습득 양상
인문과학연구
2014 .03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습득 양상에 대한 종적 연구 - 인터뷰 자료를 중심으로 -
언어사실과 관점
2017 .01
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코기토
1991 .06
영아의 시제·상 형태 습득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
2009 .08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미래시제를 통해서 본 시제와 양태의 상호작용
어학연구
2014 .04
한국어 시제형태 ‘-었-’에 대한 소고 : 소설 「엄마를 부탁해」와 영역본 비교에서
언어과학연구
2015 .06
영-한 번역과 시점의 이동
통번역교육연구
2009 .01
시간, 역사, 시제 진술의 존재론적 지위
인문학연구
201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