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말
Ⅱ. 전통공연예술의 현황
Ⅲ. 21세기 전통공연예술 정책의 검토
Ⅳ. 전통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향후 전망과 과제
Ⅴ. 맺는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서구문화의 유입과 한국전통문화의 변동 : 관습과 의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1999 .06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한 한국인의 전통문화 소비실태 연구
문화산업연구
2007 .12
문화도시 기획의 의미와 해석 : ‘전주전통문화중심도시’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007 .06
‘문화적 자본’ 이론을 활용한 지역문화향유의 함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09 .05
韓国の文化政策とマダン劇 : 70年代の伝統文化への回帰現象をめぐって
동북아 문화연구
2005 .10
문화예술 환경의 변화와 문예정책의 새로운 방향
문화정책논총
2008 .01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위험지각이 관람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합리적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2014 .08
여가활동으로서 문화예술체험에 관한 시론
관광연구저널
2011 .12
A study of the authenticity of traditional cultural products: focus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마케팅과학연구)
2017 .01
한국 전통무용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2016 .09
도서지역에 있어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및 역할
한국도서연구
2019 .01
Culture-나눔과 채움
벤처다이제스트
2008 .01
문화국가를 위한 법체계 검토
문화정책논총
2007 .02
전통 장의 이용실태와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어린이 급식시설과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가정을 중심으로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2018 .11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비판적 재구성과 미래전망 : 문화정책과 교육정책의 불완전한 통합을 넘어서
문화정책논총
2008 .01
전통의 마케팅 : 일본 가부키에서 공적ㆍ상업적 측면의 공존에 관한 연구
아세아연구
2011 .06
지리적 표시 제도를 통한 전통문화표현물의 법적 보호
비교사법
2012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