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연식 (서울여자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韓國史硏究 제158호
발행연도
2012.9
수록면
37 - 66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onstellations had significant meaning in ancient Korea. Especially kings’ divinity had been adorned by the story of constellations.
The tale of Jakjegeon in the Genealogy of the Goryeo Dynasty is one of the story of kings’ constellations. The old fox shot by Jakjegeon took the shape of Tejaprabha Buddha(熾盛光如來), incarnation of the Polestar in Buddhism. In that tale Jakjegeon can be interpreted as Cheonjanggun constellation(天將軍: general in the sky), pig as Gyu constellation(奎), willow stick as Gakdo constellation(閣道: passage to palace), black ship as Oebyeong constellation(外屛: outer folding screen), cave of Changreung as the dark area near Daerung constellation(大陵: great royal tomb) across the gallaxy, seven jewels as Myo constellation(?), the old woman as Gweonseol constellation(卷舌: rolled tongue).
The tale originated from the heroic tale of Geotaji(居陀知)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 tale of Geotaji was transformed into the tale of divine birth of the royal family of the Goryeo dynasty. Maybe it was made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왕궁으로 들어간 돼지, 규(奎)
Ⅲ. 은하수를 건너는 버드나무 지팡이, 각도(閣道)
Ⅳ. 활 잘 쏘는 작제건, 천장군(天將軍)
Ⅴ. 창릉굴에 닿은 검은 배, 외병(外屛)
Ⅵ. 작제건 설화의 의도와 제작 시기
Ⅶ.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911-0013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