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머리말
1. 제 1 분과 : 유기물관리에 의한 토양개량
2. 제 2 분과 : 생태계 개념으로서 토양 비옥도 분야
3. 제 3 분과 : 토양관리의 인식
4. 제 4 분과 : 토양의 종합관리를 통한 유용양분의 효율적인 구성과 지표
5. 제 5 분과 : 천연자원의 사용과 변경사용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토양동물(지렁이)이 토양의 비옥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심포지엄
1999 .01
두과.녹비작물 재배를 통한 유기농법 토양비옥도의 유지와 증진
한국유기농업학회 심포지엄
1999 .01
영양(營養)
한국식품연구문헌총람
1973 .06
영양(營養)
한국식품연구문헌총람
1971 .06
설악산 국립공원 토양 환경 모니터링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08 .05
모암에 따른 산림과 초지 토양의 완충능 및 비옥도에 관한 연구 ( Studies on The Soil Buffer Action and Fertility of Soil Derived from The Different Parent Rocks )
Weed&Turfgrass Science
1995 .03
우리식물이 사라지고있다
국립공원문화
2001 .01
18. 관엽식물
한국원예학회 기타 간행물
2013 .05
토양비옥도 진단에 있어서 식물 가용태 질소(특히 질산 태 질소)의 일차적 중요성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13 .10
화산회토양 감자 재배지 토양비옥도 관리 실태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10 .05
서남해안 간척지 토양의 이화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15 .05
Soil Management Practices Affected Nutrient Use Efficiency on Chinese Cabbage (Braccica campestris) in the Alpine Region of Korea
한국유기농업학회지
2007 .01
제 17차 세계토양학회 토양화학분야 발표내용
토양과 비료
2002 .09
토양비옥도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009 .08
영양적 관점(하)
낙농·육우
2003 .01
국민영양과 고영양경제 식품의 개발
식품공업
1979 .01
토양질 평가를 통한 토양관리 시스템 구축 : 연구사례 중심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2015 .05
영양과 건강을 만든다
우유
1983 .01
토양환경 - 토양미생물(1)
조경수
2012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