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건희 (서원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語文學 第118輯
발행연도
2012.12
수록면
63 - 91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ification of the adverbial clause and adnominal clause which has been not studied comparing with the modification of the word class, adverb and adnominals.
The adverbial clause modify the predicate like the general adverb and the subordinate conjunctive clause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similar to the adverbial clause doesn’t have the semantic function ‘modification’ from the point of these: (1) the movement of place, (2) the expression of ‘어떻게’ which is the referent of the adverb, (3) the temporal relation of the clauses, (4) the semantic scope of negation. The adnominal clause show the loose modification relation between the modifier and modificand like the adnominal phrase and so called new adnominal clause which show the loose modification relation exhibit the essence of modification parallel to the adnominals, adnominal phrase.
Also the adverbial clause and adnominal clause share the conjunction as well as modification and they are similar to the word class, adverb and adnominals from the point of the ellipses.

목차

1. 서론
2. 부사절의 수식
3. 관형사절의 수식
4. 부사절과 관형사절의 접점 : 수식과 접속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810-000594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