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선영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 제162호
발행연도
2012.12
수록면
143 - 170 (28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basic color terms and their meanigs in Korean. In general Korean has five basic color terms: blue, red, white, black, yellow. Their expression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class is ‘bulgda(붉다), pureuda(푸르다), huida(희다), geomda(검다), nureuda(누르다)’. The second class is ‘ppalgahda(빨갛다), hayahda(하얗다), parahda(파랗다), kkamahda(까맣다), norahda(노랗다)’, which is the combination of ‘barkda(밝다), parada(파라다), haida(해다), gamda(감다), norada(노라다)’ -the derivatives by internal change in Middle Korean- and morphemes ‘-a ha-(-아하-)’. Among these two categories, the first class is the older and the typical basic color terms in Korean. The second class has higher luminosity and saturation than first class.
Through diachronic study of changes of these words, we can understand m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basic color categories.

목차

1. 서론
2. 기본 색채어와 오색
3. 현대국어 기본 색채어의 의미 비교
4. 국어 색채어의 통시적 형성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810-000588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