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 다루려고 하는 것은 우리에게 가족이란 무엇일까라는 물음이다. 이 같은 논의를 하게 된 것은 지금 현 시점에서 가족이라는 정석화된 개념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가부장제의 위력은 IMF를 계기로 실로 여지없이 무너져 버리게 되는데, 그로 인하여 가부장은 실직할 수밖에 없었고, 그것은 경제적 파탄과 더불어 가족의 해체를 가져온다. 가부장이 중심을 이뤘던 그 자리의 부재는 여성, 어머니로 대체된다. 이 같은 현상은 소설이나 영화에 잘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오늘날 우리는 성, 피부색, 국적이 다른 사람들끼리 한 가족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결혼은 부부의 지속이 아닌 이혼으로 마침표를 찍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또 다른 시작으로 새로운 가족이 만들어지기도 한다. 그 결과 성이 다른 가족이 출현하게 된다. 아버지와 성이 다르지만 가족을 이루고 있는 지금의 현상들은 어떻게 보면 한 가지가 결핍된 다소 불안해 보이는 가족의 형태를 띠는 듯하다. 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그것이 결핍의 요소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그 이유는 영화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싱글 맘, 싱글 대디 등으로 구성된 가족의 형태들은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가족이 재구조화되고 있어 또 다른 가족 형태의 변형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 논의되고 있는 2006년에 개봉된 김태용 감독의 영화 <가족의 탄생> 역시 기존의 가족의 형태를 부정하면서 가족의 범주를 벗어난 것에 대해 한층 더 포용하고 있다. 특히 이 영화는 피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가족 때문에 봉사하고 희생하는 어머니, 가족 때문에 고생하는 아버지라는 짐을 벗어버리는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탄생시킨다는 점이다. 영화 <가족의 탄생>에는 세 부류의 가족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들 가족은 모두 아버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버지가 없는 자리를 미라, 무신, 선경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아버지(운식)가 등장하기는 하지만 미미한 존재로서, 그 역할을 감당해 내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영화 <가족의 탄생>은 즐거운 우리 집을 탄생시키는 주체가 남자가 아닌 여자라는 것과, 집을 지키는 주인은 더 이상 남자가 아닌 여성들임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아버지라는 남성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부장가족이라면, 영화 <가족의 탄생>에서는 여성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모성 가족의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여성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모성 가족의 형태를 가족의 진화로 해석하였다. 이 같은 형태의 가족의 모습을 영화 <가족의 탄생>은 잘 보여주고 있으며, 피의 순수성만을 고집하는 한국식의 가족주의에 반하는 새로운 가족의 탄생을 모색 해주고 있다.
This manuscript hope to address the question "What is the family for us?". These days, the formula concept of a family has disappeared, and that is the reason why I started getting this discussion. The power of patriarchal system broke down because of the IMF. As a result, patriarchs were jobless, this led to a economic destruction and family break-up. The absence of patriarchs is replaced by woman or mother. This phenomenon is reflected in novel or movie. Today, we live in family with men differences in gender, skin color, nationality. However, the marriage ended in divorce, and as one marriage comes to an end, another begins which new family is born. As a result, the new family which different surname began its existence. This phenomenons seems to show that form of family appear insecure by lack of one thing. But, now this cannot be concluded from factor of lack. The reason was that forms of family which consisting of single mom and daddy may appear in movie as well as in real life. In short, the family has regrouped and reorganized, and producing variations of another form of family. The movie "Family Ties" which was released in 2006 of the Kim Taeyong also upset an existing the forms of family and embracing about it is out of category of family. Especially this movie in denying the purity of blood creates new type of family that ready to throw off the shackles as a mother and father who to serve and sacrifice for family. In the movie "Family Ties", family of three categories appearing, all these families are fatherless families. However, Mira, Mushin, Sunkyong stands in for the absence of father. A Father(Unsik) appeared, but he is a slight being cannot afford the role. Thus, the movie "Family Ties" confirms that main agents created the our sweet home is woman not man and the owner of the home is woman not man. If patriarchal system is built up the father are centered around men, the movie "Family Ties" shows the form of maternal family are centered around women. I interpreted the form of maternal family are centered around women as a familly"s evolution. The movie "Family Ties" is seeking the birth of new family against the familism of Korean style pushed hard for the purity of bl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