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우성훈 (신안산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29卷 第5號
발행연도
2013.5
수록면
183 - 194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is to clarify on the formation of capital structure and change of the Gaegyeong in the reign of the 6th King of the Goryeo Dynasty, based on a study of the location of capital facilities,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to the Chinese capital system, and the capital spacial structure.
King Seongjong, the 6th King of the Goryeo Dynasty, institutes the Chinese capital system based on the Confucian system in order to resolve a social contradictions caused by religion, and to adapt 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s a result, Confucian facilities, such as Jongmyo(royal ancestral shrine) and Sajik(altar for state deities) were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the capital of Goryeo Dynasty. Nevertheless, they were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Imperial city, the Capital. The causes are found in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the Gaegyeong and in the wide area of the capital in early Goryeo period. The facilities were widely distributed to controled the wide area of the capital efficiently.

목차

Abstract
1. 서론
2. 도성 시설의 건립 및 정비와 그 위치
3. 도성제도 정비의 대내외적 배경
4. 도성 시설의 위치와 개경의 공간 구조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52)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500-002609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