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신건수 (한양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0卷 第6號
발행연도
2014.6
수록면
147 - 156 (10page)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contends that the famous panopticon designed by Jeremy Bentham in 1791 (firstly in 1787) was not, despite his conviction, “a simple idea in Architecture,” but a complex mechanism of visible operations. Nevertheless, this English philosopher made great efforts toward the construction of his prison, which was not, strictly speaking, panoptic (“seeing without being se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entham’s contradiction regarding the impossibility of realizing the perfect process of one-way vision. In this research, Bentham’s idea is examined through his last panopticon project, which is divided into two parts: a real optic system and the effect of invisible surveillance. To address this issue, it is firstly essential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Bentham’s pure concept and his final project. Secondly, we must engage in a search for meaning within Bentham’s propositions on architecture and surveillance mechanisms, after assessing the challenges involved in their implementation. Finally, this study will analyze the principles of the panopticon as compared to a general prison model by means of visual systems.

목차

Abstract
1. 서론
2. 파놉티콘 건축 특성-투명과 불투명성
3. 시각 작용과 시각 효과의 이중성
4. 벤담의 파놉티콘과 파놉티시즘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500-001710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