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신라사회의 발전과 해상활동의 확대
Ⅲ. 서역 문물의 신라사회 유입과 적용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식과 재현 : 미술사적 관점에서 본 ‘신라와 서역’
신라사학보
2013 .08
Silla Art and the Silk Road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4 .02
신라·백제의 문화적 특성과 융합
신라사학보
2018 .04
新羅墳墓 속 西域系文物의 現況과 解析
한국고대사연구
2007 .03
신라고분 속 외래문물의조사와 연구
중앙고고연구
2010 .01
'신라정신新羅情神'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국학연구
2012 .06
잊혀져 가던 서역의 빛, 옛 영광을 찾아서
고문화
2002 .01
불교미술 분포를 통해 본 신라문화권의 북방한계
신라사학보
2019 .08
신라의 불교와 문화
불교학보
1963 .10
신라 지식인들의 西域인식
경주사학
2013 .12
신라 초기의 사회성격에 대한 재검토
고문화
1996 .01
日本列島 出土 西域系 文物로 본 新羅와 日本
신라사학보
2013 .08
육대(六大) 다류(茶類)에 대하여 -제 1보 신라시대 이전-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89 .01
日本の多文化社会と「やさしい日本語」に関する考察
일어일문학
2015 .11
多文化センターでの継承語及び文化活動実践報告 : 『子ども多文化講師養成プロジェクト』 第1期 ~ 第3期から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6 .09
新羅의 새로운 경계, 加耶지역에 대한 신라 지배 - 아라가야지역을 중심으로 -
역사와경계
2020 .06
북한의 신라 고고학 연구 현황과 특징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20 .01
東西洋의 兒童 圖書 : 兒童文學에 對한 多文化的 接近
한국아동문학연구
1997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