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시각적으로 제시한 색채 분석도구인 감성척도는 디자인 분야에서 색채와 이미지 사이의 상관성을 다루거나 시각적인 이미지를 도출하여 유형화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감성척도가 디자인 전 분야에 공통적으로 사용되기에는 분야별 적합성과 객관성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분야별로 평가어휘간의 분류체계를 시각화한 이미지분석모델을 장기적인 목표로 세우고 그 중 메이크업 컬러의 색채 이미지모델제작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 결과를 보완하여 5개의 메이크업 브랜드의 색채 팔레트를 조사하였고, 자유배색을 통해 색채 이미지평가어휘를 추출하고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63개의 어휘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어휘를 사용하여 메이크업 브랜드의 광고사진에 대한 이미지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는 이미지 평가어휘들을 2차원 평면상에 시각화하기위해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평가어휘간 유클리디안 거리모형위에 6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그룹1에는 [고풍스러운, 고전적인, 중후한, 시원한, 조용한, 그윽한, 점잖은, 고상한, 기품있는, 고급스러운, 품위있는], 그룹2에는 [캐주얼한, 밝은, 화사한, 산뜻한, 발랄한], 그룹3에는 [내추럴한, 맑은, 가벼운, 자연스러운, 깨끗한, 싱그러운, 앳된, 귀여운, 여성스러운, 로맨틱한, 사랑스러운], 그룹4에는 [도발적인, 강렬한, 대담한, 강한, 자극적인, 몽환적인, 신비한, 도도한, 서구적인, 정열적인, 관능적인, 역동적인, 또렷한, 화려한, 개성있는, 젊은, 독특한, 매혹적인, 매력적인, 생기있는], 그룹5에는 [수수한, 단정한, 단아한, 차분한, 깔끔한, 청순한, 온화한, 따뜻한, 우아한], 그룹6에는 [쉬크한, 차가운, 도회적인, 사이버틱한]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메이크업의 이미지 유형을 분류한 선행연구와도 비슷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그룹6의 경우 기존 연구에서는 분류되지 않았던 어휘들로 [쉬크한, 차가운, 도회적인, 사이버틱한]의 어휘들은 시대성에 따라 새롭게 분류된 유형으로 분석된다.
‘Sensibility Scale,’ which is a color analysis tool that presents a viewer-friendly representation of images associated with each color, is being utilized in dealing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s and related images in the field of design and visualizing such images as a typology. However, the suitability and objectivity of existing Sensibility Scale are being questioned as to usage in all design-related fields.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creating a make-up color image model under the long-term goal of creating an image analysis model that visualizes the evaluation vocabulary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design fiel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five makeup brand palettes were studied as a complement of the previous study and color image evaluation words were extracted through free arrangement of colors, with 63 words chosen through expert verification. Next, image evaluation experiment was done on the make-up brands advertisement photos using the vocabulary. The image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to visualize the image evaluation vocabulary on a 2-dimensional surface and the word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on the Euclidean distance model using a cluster analysis. The analysis produced the following classifications. Group 1: [genteel, classic, solid, cool, quiet, profound, decent, sophisticated, elegant, luxurious, classy], Group 2: [casual, bright, vibrant, refreshing, bubbly], Group 3: [natural, clear, light, naturalistic, clear, lush, childish, cute, feminine, romantic, lovely], Group 4: [provocative, intense, bold, strong, aggressive, dreamy, mysterious, sassy, western, passionate, sensual, dynamic, prominent, splendid, individualistic, young, unique, fascinating, charming, lively], Group 5: [modest, neat, refined, calm, clean, innocent, gentle, warm, graceful], Group 6: [chic, cold, urban, cyber-like]. Although the results a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that classified the image types of make-up, Group 6 of this study has new words that were not included before, [chic, cold, urban, cyber-like], which reflect the current trends, as a newly?classified 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