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생산된 다양한 벌꿀에 대한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국내 유통 벌꿀의 과학적 벌꿀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한 분석은 수집된 벌꿀을 대상으로 하여 안정탄소동위원소비율, 수분함량, 전화당 및 자당 함량, HMF 함량을 측정하였다. 안정탄소동위원소비율은 밀원에 따라 ?25.18- ?12.60‰ 범위로 C₄ 식물군인 사양꿀을 제외하면 모든 벌꿀이 순수벌꿀로 유통되었다. 수분함량은 18.12-19.70% 범위로 식품공전 및 Codex 기준치에 충족하였다. 벌꿀의 당 함량은 fructose의 경우 36.10-43.94% 범위, glucose의 경우 22.61-31.91% 범위로 전화당 함량이 64.89-72.79% 범위를 나타내어 기준치에 충족하였다. Sucrose 함량 역시 1.56-4.75%로 기준치에 모든 벌꿀이 충족하였다. HMF 함량은 국내산의 경우 0.11-48.85 mg/kg 수준, 수입산의 경우는 4.10-78.66 mg/kg 수준을 나타내어 기준치에 적합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내 유통 벌꿀을 수집하여 품질을 비교·분석한 결과, 모든 벌꿀이 우리나라 식품공전상 규정하고 있는 기준치에 충족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긴 유통과정을 거치는 수입산 벌꿀의 경우 HMF 함량이 4.10-78.66 mg/kg 수준으로 국제기구인 Codex의 기준치인 40 mg/kg 이하에 일부 벌꿀이 초과하였고, 식품공전 상 기준치인 80 mg/kg 이하에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국내에 유통·판매되는 벌꿀의 품질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당 및 HMF 함량 등 품질지표가 될 수 있는 구성성분에 대한 국제적 수준 또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벌꿀의 규격 관리가 마련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quality properties of honey in Korean commercial markets. The moisture content, stable carbon isotope ratio, invert sugar, cane sugar, and hydroxy-methylfurfural (HMF) contents of honey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Korea Food Code and AOAC’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official methods. The stable carbon isotope ratio ranged from ?25.18‰ to ?12.60‰, which clearly differed between honey of C₃ origin (flower) and C₄ origin (artificial). Results of quality measurements revealed a moisture content of 18.12 to 19.70%, fructose content of 36.10 to 43.94%, glucose content of 22.61 to 31.91%, sucrose content of 1.56 to 4.75%, invert sugar content of 64.89 to 72.79%, and HMF content of 4.10 to 78.66 mg/kg. These values demonstrate that the quality of the tested honey meets the standard criteria of the Korean Food Code and Codex.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imported honey because it is circulated in the market through a long distribu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