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국가 건설의 담론과 민족 수난의 서사
3. 타자화 된 수난과 수난 서사의 혼종성
4. 결론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수호전』 삽화에 운용된 이지동도와 이시동도의 표현 연구 - 원무애본을 중심으로
국제언어문학
2023 .12
백석 소설이 지닌 서사 구조의 특성에 대한 연구 -「마을의 유화」와 「닭을 채인 이야기」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2018 .01
발화하는 여성들과 국민 되기의 서사 : 지하련의 「도정」과 손소희의 「도피」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6 .04
믿을 수 없는 서술의 수사학과 독서의 역동적 과정
현대소설연구
2019 .06
제도로서의 역사학과 ‘민족서사’의 미래
역사학보
2015 .12
19세기 미국 서부지역 아시안 이주와 反아시안 정서의 형성
사림
2019 .01
텔레비전드라마 내레이션의 개념과 범주
인문콘텐츠
2017 .12
일본현대소설에 나타난 메타픽션과 리얼리티- 미즈무라 미나에(水村美苗) 『본격소설(本格小說)』論
세계문학비교연구
2015 .01
룻기에 반영된 서술자(narrator)의 관점
신학지남
2017 .12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과 관련해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12
러시아-유라시아 지역의 언어적 특성: 중앙아시아의 ‘민족개념-민족어-러시아어’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6 .01
1930년대 안재홍의 조선학연구에서 근대정체성 서사와 다산 정약용
역사교육
2016 .12
한반도의 역사적 경험에 따른 한민족의 정체성 규명을 위한 시론
헤겔연구
2016 .06
宋本<清明上河圖>對清明上河主題小說敘事的功能硏究
중국어문학논집
2020 .02
The Silenced and Spectral Voice of Women Narrators: Textual Anxieties in Brief Encounter and Letter from an Unknown Woman
영미문학페미니즘
2021 .01
<조씨삼대록> 음모(陰謀) 화소에 나타난 서술적 특징
韓國古典硏究
2019 .01
민족의 실체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2016 .01
이스라엘의 선택과 열방과의 관계 스펙트럼
구약논단
2021 .09
민족을 상상하는 해방기의 문학 : 일(日)ㆍ미(美) 표상을 중심으로
어문학
2016 .06
해방기 비평의 몇 가지 논점-임화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6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