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분리의례
3. 전이의례
4. 통합의례
5. 결론
〈參考文獻〉
〈中文提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元雜劇 「猿聽經」의 度脫構造 : 통과의례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16 .02
元雜劇 「東坡夢」의 度脫構造 : 통과의례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16 .05
원잡극 「忍字記」 度脫 : 통과의례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15 .02
性齋 許傳의 深衣 연구
동양학
2021 .01
朝鮮과 明의 淫祀와 城隍祭儀 인식과 대응 비교연구
역사와 세계
2021 .12
고려전기 기신의례(忌辰儀禮)에 보이는 공간과 동선, 그리고 왕권의 재현
역사와현실
2024 .06
슝포시(熊佛西)의 농민연극실험(1932-1937)에 드러난 대화주의 연구
중국어문학지
2019 .01
동양극장의 초기 전속극단동극좌와 희극좌에 대한 일 고찰
인문학연구
2016 .01
고려전기 사면의례의 구성과 의미
한국사연구
2022 .06
元代 水滸雜劇의 민중적 웃음
중국소설논총
2020 .12
현대 중국어 비대격 동사(unaccusative verb) ‘死’와 출현 구문(construction)의 상적 특징 고찰
중국어교육과연구
2016 .12
‘V/A+得+滿+Nm+X’ 구문 중 ‘Nm’의 인지분석
중국어교육과연구
2016 .12
한국과 일본의 중 ·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비문학텍스트 연구
일본어학연구
2018 .09
秦漢白色神秘象徵意義試析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4
일본 이류각시담(異類女房譚)의 유형 및 특징
일본문화학보
2019 .05
漢韓中動結構對比硏究
중국어교육과연구
2018 .12
16세기 사치풍조와 사회적 구별짓기 - 『默齋日記』에 나타난 通過儀禮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
2015 .01
원 잡극 속 기생어미 형상 초탐 - 기녀와 문인 간의 애정제재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20 .04
조선 초 迎勅儀禮의 성립과정과 그 특징
역사문화연구
2022 .02
한국(韓國) 사직제례(社稷祭禮)의 전통의례콘텐츠 개발과 그 의미
어문론집
201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