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서론
2. 단어의 정의를 위한 `자립성`이라는 기준의 성격
3. 교착소의 문법적 위상
4. 형태론적 구조체로서의 단어의 필요성 - 어휘부와 동사부의 접점
5. 결론
참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단어 읽기 수준에 따른 단어 읽기 발달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
2024 .04
아이라는 단어 속에 외
창비어린이
2023 .03
기후 위기가 빚어낸 새로운 단어들
PAPER
2024 .09
??표준국어대사전??의 ‘형태론’ 관련 전문용어의 사전 기술에 대한 단견
언어와 정보사회
2021 .01
단어임베딩을 활용한 러시아어 어휘의미 연구
슬라브硏究
2021 .12
통사 단위가 포함된 신어 연구
반교어문연구
2018 .01
번역불가한 단어
번역하다
2024 .01
現代日本語と韓国語の語彙におけるカバー率について
일본어학연구
2016 .06
혼자서도 영어 단어가 쉬워지는 3가지 방법
번역하다
2023 .01
종합적 단어관의 전개 가능성 검토
한글
2018 .06
[심사평] 한 단어·한 구절… 허투루 놓을 수 없을 만큼 묵직
시조시학
2025 .03
엘.베. 니콜스키(Л.Б. Никольский)와 『한국어의 보조적인 단어』
한국학연구
2024 .05
현대 한어 신조어의 단어 결합방식 분석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04
국어사전에서의 다단어 표현을 선정하고 기술하는 일에 관하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4 .08
의미 투명성과 맥락 강도가 조선족 아동의 중국어 단어 의미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중언어학
2020 .01
문법 학습 요소 ‘단어의 짜임’에 대한 교과서 記述 실태 분석 및 교과서 구현 방안 - 2009 개정 중 ·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
漢文古典硏究
2016 .01
조선어단어결합과 련어
중국조선어문
2020 .01
단어 형성법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어교육연구
2018 .06
신어 형성과 어휘의 확장 -‘템’ 관련 신어를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2019 .01
‘종번관계’론의 굴절과 내적 긴장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