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독립운동은 남성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민족해방의 주체가 된 여성 독립운동가들
민족해방이 곧 여성해방이다
해방 70주년에 되돌아보는 여성 독립운동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보』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스포츠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0 .11
일제강점기 경성 내 가로수에 대한 일고찰
[TCHCCOS] 서울과 역사
2018 .02
일제강점기 경북 남부지역의 야학으로 본 민족교육운동과 성격
안동학
2024 .12
안중근 의거에 대한 한국의 인식 - 일제강점기, 한국 내 일본어 신문을 중심으로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2 .04
상장에 나타난 일제강점기 교육의 특징과 영향
인문연구
2021 .12
일제강점기 야학, 안동의 지역성을 확장하다
안동학
2019 .12
[청년의 시선] 경성 시대와 일제강점기, 그 겨울을 돌아볼 때
유레카
2019 .05
독립 외
자음과모음
2020 .12
일제강점기 초등학교<역사>교과서의 ‘아코사건’ 고찰 : 광주학생운동과의 비교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일제강점기 북선(北鮮)에서 전개된 일본전통시가의 실체와 전망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23 .04
3·1운동과 그 이후, 여성의 현실 참여
인문과학연구
2019 .01
광주 · 전남 지역 여성 독립운동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3 .08
김광규 『일제강점기 초등교육 정책』 (동북아역사재단, 2021) : 일제강점기 초등교육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역사교육
2024 .06
일제강점기 항일독립운동과 중국어교육의 관계 : 『中語大全』 著者李祖憲의 삶을 중심으로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11
일제강점기 박문사 건립과정과 건축적특징
[TCHCCOS] 향토서울
2015 .06
일제강점기 조선과 대만의 중등교육용 국어(일본어)교과서 사용에 관한 고찰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8 .04
운동은 몸에 좋아요
문학들
2015 .02
백운동을 거닐다 외 2편
황해문화
2016 .12
3·1운동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현대사와 박물관
2019 .12
운동
월간에세이
2020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