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Koot van Wyk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저널정보
한국기독교학회 한국기독교신학논총 한국기독교신학논총 제97집
발행연도
2015.7
수록면
5 - 26 (2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에스더서에 나오는 모르드개의 역사성에 대한 탐구는 고대 페르시아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이미 페르세폴리스에서 에스더 3:1의 함므다다라는 이름을 발견한 점에 비추어 의미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는 에스더서와 동시대의 점토판 문서에서 모르드개라는 인물을 찾을 수 있는지 조사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닥사스다 1세와 다리오 2세 당시의 니푸르 문헌에서 모르드개라는 이름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아람어 문자 기록 사피르 마르두카(sapir Marduka, “모르드개 문서”)라는 실제 판독(H. V. Hilprecht, 1904, Plate 66, Text 121 참조)과 A. T. 클레이(1912)에 의해 제시된 이와 유사한 증거들을 찾는 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이를 통해 모르드개라는 이름의 인물들이 에스더서의 사건과 동시대인 페르시아 시대 바벨론 근처에 현존하였음이 제시되었다. R. A. 보우만(1970)에 의해 출판된 아람어 원추체 중 페르세폴리스 재정문서(Persepolis Treasury Texts)에, 아하수에로 통치 말년의 한 인물이 언어학적 과실로 tmrk, mtrk, 또는 본 연구와 관련하여 의미 있는 mrtk의 형태로 이름 불린 추가적 증거가 나타난다. 기원전 457년 유대인들이 에스라의 지도하에 유수지로부터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무렵에 이 인물이 페르세폴리스 재정문서에서 사라진 점은 흥미롭다. 에스더서의 역사성을 연구함에 있어 이러한 증거들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목차

I. Introduction of Phenomenon
II. Finding of Persepolis Texts
III. Officials and Their Terms
IV. Dates of the Objects of Persepolis
V. Treasury Building Additions
VI. Evidence of Mordechai in the Treasury Aramaic Texts at Persepolis
VII. Conclusion
Bibliography
한글초록

참고문헌 (8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