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윤명철 (동국대)
저널정보
고조선단군학회 고조선단군학 고조선단군학 제31호
발행연도
2014.12
수록면
187 - 229 (43page)
DOI
10.18706/jgds.2014.12.31.18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mankind emphasis on historical roles, and always expect to get answers from history experience, when the crisis situation occurs. This is from positive attitude of history education, especially for the nation-state history education. Nevertheless, people of Korean society do not appreciate the value and meaning of history, thus leading to weaken history education, sometimes even be excluded. Nowadays history education is no longer a required course in high school of Korea. In order to explore historical facts, restore national identity, and accelerate the future development, Korea government needs to re-examine the way of ancient history education. Also Korea is Lack of maritime historical research especially there is no maritime history education in Korea. This paper confirmed the problem that young people learn nothing about ocean history of Korea in school education process. The author emphasis the improving value of maritime knowledge of new era, and suggest government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maritime research and education. In case of need, maritime history textbook compil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목차

1. 서론
2. 국사교육의 의미와 해양사 교육의 필요성
3. 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사 서술의 검토와 문제점
4. 해양부분 서술을 위한 제언과 구체적 실예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4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