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Literary canon외국문학연구 59호 and auto-ethnographical ‘writing back’
2. Die Verdwaalde Land (1992) as auto-ethnography
3. Conclusion
〈Bibliography〉
ABSTRACT
국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작은 섬 큰 문학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7 .12
문학작품을 읽는 독자들을 위한 가독성 연구 -토머스 하디의 『더버빌가의 테스』를 중심으로-
국제문화연구
2019 .01
5・18문학 40년 연구사의 맥락과 재해석
감성연구
2020 .01
중국과 한반도에서의 ‘민족’ 개념의 인식과 갈등구조
현대중국연구
2018 .01
사회운동참여를 통한 재일한인 2세의 민족정체성 변화 고찰?지역사회활동가 P와 S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근대학연구
2020 .01
중학교 역사의 민족 정체성 교육 비판 - 교수요목기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
사회과교육
2019 .12
자전적 서술법을 활용한 국어과 교과서 활동 방향 제안 - 「날개」와 「외딴 방」에 공존하는 자전적 특징을 근간으로 -
새국어교육
2016 .03
민족의 통일과 다문화사회의 갈등: 독일 문학의 예를 중심으로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6 .12
통일교육의 사회통합 역할 모색을 위한 민족정체성과 세계시민성 담론 : Durkheim의 도덕론을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2018 .08
An Analysis of Social Integration of Korea after Unification : A Case Study of South Africa
글로벌문화연구
2016 .12
정체성 갈등 시대 정체성 정치문화에 대한 소고 : 자기 동일성으로서의 정체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중심으로
OUGHTOPIA
2023 .02
글로벌시대 “과계민족”의 정치적 역학 : 중국 조선족을 중심으로
평화학연구
2015 .06
한나 아렌트의 ‘의식적 파리아’와 정체성의 정치
문화와 정치
2025 .03
당 조직과 당 문학
노동사회과학
2023 .05
한국의 마해송과 베트남의 또호아이 작가 연구
동남아연구
2021 .08
2000년 이후 문학장의 재편과 ‘문학권력’론 : ‘문학권력’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선
뉴 래디컬 리뷰
2016 .10
친일문학과 민족문학의 경계 허물기 - 재일작가 장혁주, 김달수?김석범의 문학과 이분법적 사고의 해체 -
日本學(일본학)
2021 .12
민족․문화 정체성 발달이론과 한국 다문화시민교육에의 함의
다문화교육연구
2019 .01
청년세대의 정치: 정치의 주변화인가 새로운 정치의 등장인가
사회과학연구논총
2020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