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외모관련태도 유형별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하여, 외모관련태도에 따른 소비자군의 성향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자기 패션이미지에 대한 지각 및 추구 특성을 밝히므로써 관련 패션제품의 컨셉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40대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2008년 1월 5일부터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4.0을 이용하여 총 457부의 분석 자료를 빈도분석, 교차분석, paired t-test, ANOVA, 요인분석, 군집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모관련태도는 외모동조, 외모타인의식, 외모만족, 외모무관심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외모관련태도 유형은 외모불만족형, 타인의식형, 외모독립형, 외모무관심형으로 분류되었다. 자기이미지는 패션이미지로 범위를 한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엘레강스이미지, 섹시이미지, 내추럴이미지의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외모관련태도 유형별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이미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모불만족형은 매스미디어가 제시하는 이상기준에 자신을 비교하고 자신도 그렇게 되기를 열망하므로, 외모 불만족이 가장 크고, 4가지 유형 중 현실적-이상적 자기이미지 간의 차이(-1.48)가 가장 크다. 자기이미지별 현실적-이상적 이미지 간 차이는 엘레강스이미지(-1.64)=섹시이미지(-1.64)>내추럴이미지(-1.15)순으로 나타났다. 타인의식형은 자신의 외모에 대한 타인의 평가에 가장 민감하고 타인의 평가기준에 부합하려고 노력하는 유형으로, 다른 유형보다 현실적 자기이미지를 높게 평가하였고, 4가지 유형 중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미지 간의 차이(-0.79)가 가장 작다. 자기이미지별 현실적-이상적 이미지 간 차이는 섹시이미지(-0.85)>엘레강스이미지(-0.81)>내추럴이미지(-0.71)순으로 나타났다. 외모독립형은 사회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기준이나 타인의 평가와 같은 외부요소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유형이다. 이상적 자기이미지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으며, 현실적 자기이미지와 이상적 자기이미지 간의 차이는 -0.89로 나타났다. 자기이미지별 현실적-이상 적 이미지 간 괴리는 엘레강스이미지(-1.01)>섹시이미지(-0.90)>내추럴이미지(-0.74)순으로 나타났다. 외모무관심형은 외모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도가 떨어지는 유형이다. 따라서 현실적 자기이미지를 관대하게 평가하였고 이상적 자기이미지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였으며, 현실적-이상적 자기이미지 간의 차이는 -0.89로 나타났다. 자기이미지별 현실적-이상적 이미지 간 차이는 섹시이미지(-0.99)>엘레강스이미지(-0.98)>내추럴이미지(-0.71)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ake reference data to form the concept for fashion product with research of consumer propensity and image characteristic study according to appearance attitude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according to the attitude toward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female consumers at the age of 20-40, from January 5 to January 22 in 2008, and 457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4.0 program on the frequency test,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OV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Factors analyses were employed for the attitude toward appearance. Four factors were formulated for the attitude toward appearance: followers with appearance, attendant to others, self-satisfaction. indifferent to appearance. And 4 groups for the attitude toward appearance were found: the type of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the type of attendant to others, the type of focusing on oneself, the type of indifferent to appearance. Dissatisfaction with appearance type were interested in the beauty that mass media delivered and compared to the beauty, desiring themselves to be like that, which could be connected to be most dissatisfied with their appearance. and this type showed the biggest gap(-1.48)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an any other types.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shows that elegance image was equal to sexy image as value of (-1.64) and natural image was lower than other images as (-1.15). Attendant to others type were sensitive of other opinion and tried to themselves be fitted for others`s valuation basis. These type people had tendency to evaluate their real self-image higher than any other types, and the gab(-0.79) was closest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an any other types.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shows that sexy image(-0.85)>elegance image(-0.81)>natural image(-0.71). Focusing on oneself type were less influenced by social criterion or others` judgement. This type people evaluated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lowly, and the gab(-0.89) was effectively clos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shows that elegance image(-1.01)>sexy image(-0.90)> natural image(-0.74). Indifferent to appearance type were less interested in appearance, this type people showed to estimate themselves high for both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and the gab(-0.89) was clos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The difference between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shows that sexy image(-0.99)>elegance image(-0.98)> natural image(-0.71).